서울시가 ‘자영업자 생존자금’ 신청 접수를 온라인에서 시작한 첫날인 25일 서울 송파구청 소상공인 종합지원 상담센터에서 구청 관계자들이 방문자들과 상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의 ‘자영업자 생존자금’ 온라인 접수 첫날에 5만건 이상의 신청이 몰렸다. 예상보다 빠른 신청 속도를 고려하면 코로나19 확산 후 자영업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서울시 집계 결과, 온라인 접수 첫날인 25일 밤 9시 기준 5만700여건의 자영업자 생존자금 신청이 접수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자영업자들이 많이 어려운 상황이라서 예상보다도 신청 속도가 빠르다”며 “이번주에 약 30만건의 신청이 들어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청은 마스크 구매와 같이 사업자의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5부제로 진행됐다. 주말은 모두 신청이 가능하다. 온라인 신청의 경우 제출 서류 없이 휴대전화 인증과 개인정보를 입력해 간편히 신청할 수 있다.
자영업자 생존자금은 코로나19 확산 후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게 월 70만원씩 2개월 동안 현금 140만원을 지급하는 정책이다. 서울 시내 전체 소상공인 57만여곳 중 유흥·향락·도박 등 업종을 제외하고 약 41만곳이 5756억원을 지원받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번 정책의 특징은 임대료, 인건비 등 고정비용에 사용하는 목적으로 소상공인에게 현금을 지원한다는 점이다. 마포구 공덕동 인근의 학교 앞에서 분식집을 운영하는 김아무개씨는 “학생 손님이 끊겨 매출이 많이 줄었다”며 “대출을 받자니 빚이 느는 것 같아 부담이었는데, 지원금을 받아 임대료에 보태면 올해 상반기는 잘 버틸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올해 2월 말 기준 서울에서 6개월 이상 영업을 한 자영업자와 연 매출 2억원 미만인 사업자에게만 자금이 지원된다. 그래서 연 매출 기준이 넘거나 장사를 막 시작한 자영업자들의 지급 조건을 완화해달라는 민원이 일주일에 100건 이상 밀려드는 상황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모든 소상공인에게 다 지원하고 싶지만, 예산 제약이 큰 상황”이라며 “현장 목소리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해 정한 자격 기준이라 조건이 변경될 가능성은 적다”고 설명했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