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이후 활동 흔적이 없는 포털사이트 카페에 게시된 인천문화재단의 ‘시놉시스 모집 공고’ 홍보글. 온라인 카페 누리집 갈무리.
인천문화재단 고위 간부가 딸에게 전례없는 ‘꿀알바’를 주고도 솜망방이 징계를 받아 논란인 가운데 재단 노조가 ‘전면 재감사’를 요구하고 나섰다.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 인천문화재단지회는 9일 성명을 내어 “인천시는 재단 첫 ‘공직자 부조리 신고’ 사건을 전면 재감사하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재단 인사위원회는 직원 대표로 노조에서 선임한 내부 인사위원 2명이 요구한 자료 공개를 거부하고, 이들이 빠진 상태에서 일방적으로 고위 간부에 대한 징계를 강행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재단은 문화예술 지원사업 진행 때 기획재정부 지침에 따라 가족 간 거래 등을 금지하고 있으며, 부당 행위 적발 때 전액 환수한다. 문화예술인들에게 적용하는 지침을 재단 직원에게는 적용하지 않는 부당한 상황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앞서 올해 1월 ‘이현식 한국근대문학관장 겸 아트플랫폼 관장이 자녀에게 수의계약을 줬다’는 내용의 공직자 부조리 신고가 인천시 감사관실에 접수됐다. 부조리 신고는 재단 설립 15년만에 처음이었다.
시 감사 결과, 이 관장이 추진하던 사업과 관련한 홍보물을 온라인 카페 등 40곳에 게시하는 조건으로 113만원 상당의 용역계약을 이 관장의 딸과 체결한 것으로 드러났다. 온라인 게시판에 ‘컨트롤C+V’(복사+붙여넣기)를 한 번 할 때마다 2만8250원씩을 주는 셈이어서, 재단 내부에서 ‘꿀알바’라는 비난이 쏟아졌다. 활동이 장기간 중단됐거나 회원 수가 10명도 채 되지 않는 카페, 관공서 자유게시판 등에 홍보물을 게시하는 등 용역 활동도 부실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시 감사관실은 지난 4월29일 대통령령인 공무원 행동강령상 가족간 거래 때 신고 의무를 위반하고, 수의계약 체결 제한을 위반했다며 이 관장에 대한 경징계 처분(최대 감봉)을 재단에 통보했다. 재단은 지난달 11일 인사위원회를 열어 이씨에 대한 징계 수위를 정했지만, 결과는 개인 신분상 조처를 이유로 비공개했다.
김진형 재단 노조 위원장은 “금액이 많고 적음이 문제가 아니라, 부조리 행위에 대한 심각성과 징계 과정의 투명성 등이 모두 무시된 행태가 문제”라며 “재단 이사장이자 감사의 총괄 책임자인 박남춘 인천시장이 직권으로 전면 재감사하도록 조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