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코로나19 치료 병상 가동률이 80%에 육박해 병상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사진은 코로나19 치료용 병상. 연합뉴스
사랑제일교회와 8·15 광복절 집회발 집단감염 영향으로 서울에서만 일주일째 세자릿수 안팎의 코로나19 확진자가 속출하면서 치료 병상 확보에 빨간불이 켜졌다. 서울시가 급하게 생활치료시설 등을 확보했지만 감염 확산 추세가 계속되면서 병상가동률이 다시 80%에 육박했다.
서울시는 21일 0시 기준 코로나19 치료용 병상 1118개 가운데 857개를 사용 중(가동률 76.7%)이라고 밝혔다. 태릉선수촌 생활치료센터 병상 382개가 19일 추가돼 가동률이 60%대로 떨어진 지 이틀 만에 다시 10개 병상 중 8개가 차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시는 현재 중증환자를 위한 음압병상 650개와 경증과 무증상 환자를 위한 생활치료센터 468개를 운영 중이다. 경기도도 이날 치료 병상 592개 중 537개가 채워져 가동률 90.7%를 기록했다. 생활치료센터 병상은 204개 중 143개(가동률 70.1%)가 사용 중이다.
확진자 급증으로 매일 병상가동률이 10%씩 널을 뛰는 상황에서 서울시와 경기도도 긴급 대응에 나섰다. 서울시는 19일 서울지역 15개 병원장이 참석한 ‘재난의료협의체' 회의를 열고 비상시 민간의료기관 병상 확보 방안 등을 논의했다. 시는 23일부터 한전 인재개발원 124병상, 26일부터는 은평소방학교 192병상을 확보해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보라매병원 등 시립병원 일반병상 58개도 29일부터 운영된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도 이날 도 소재 상급종합병원장들과 간담회를 열고 치료 병상 부족 상황에 따른 민간병원의 협조를 요청했다.
감염 확산 추세가 계속되면 병상 부족으로 인한 의료 공백의 문제까지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김창보 서울시 공공보건의료재단 대표는 “시립병원뿐만 아니라 민간의료기관까지 협조가 필요한 상황이 올 경우 감염병의 특성상 기존 환자를 빼는 문제와 외래진료가 제한되는 문제가 생긴다”며 “확진자 수를 줄이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강도를 높이는 것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