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고양시 일산시장 입구에 ‘안심 콜 출입관리 시스템’ 안내문이 설치돼있다. 고양시 제공
경기도내 소상공인들이 경영안정과 사업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정책으로 ‘자금대출 지원’을 꼽았다.
경기도는 소상공인연합회 주관으로 지난 6월13일부터 7월14일까지 실시한 ‘경기도 생활밀착형 소상공인 지원정책 수요조사’ 결과, 코로나19로 많은 소상공인들이 매출감소와 자금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수요조사에는 도내 외식, 서비스, 소매업종 소상공인 646명이 참여했다.
경기도 소상공인 지원정책 수요조사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87.9%가 매출감소를 경험했으며 24.9%는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폐업이나 업종전환을 고려중이라고 밝혔다.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40.2%가 ‘자금부족’을 꼽았으며, 이어 임대료(18.1%), 인건비(18%), 금융비용(7.3%) 순으로 응답했다.
정부와 경기도가 시행하는 지원대책의 혜택을 받은 소상공인은 68.1%로 확인됐으며, 노란우산공제나 산재보험 등 사회안전망에 가입한 소상공인은 이에 못 미치는 56.7%로 조사됐다.
만족스러웠던 지원대책은 점포 경영개선이 53.8%로 가장 높았고, 이어 수수료 인하(40%), 경영·상권 활성화 자문(36.6%), 홍보마케팅(33.4%), 자금대출(31.7%), 골목상권 조직화(30.9%) 순으로 응답했다.
향후 경영안정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정책으로는 ‘자금대출 지원’이 50.6%로 과반을 차지했다. 이어 시설개선(8.2%), 상가임대차제도 개선(6.7%), 카드수수료 지원(6.7%)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특히 코로나19 확산 이후 비대면 시장 확대로 인한 매출 감소가 64.1%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62.1%로 조사돼 관련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는 이번 조사 결과를 면밀히 검토해 내년도 예산 편성 방향과 소상공인 지원정책을 수립하는데 반영할 계획이다. 조장석 경기도 소상공인과장은 “비대면 시장 확대 추세에 맞춰 소상공인들의 생존율 향상을 높일 수 있도록 온라인 전자상거래 활성화 지원 등 다양한 지원책을 펼칠 방침”이라고 밝혔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