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서울시가 취업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일자리 1만개를 지원할 방침이다. 사진은 서울 명동의 한 상점에 붙은 임시휴업 안내문. 연합뉴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무급휴직 중인 노동자들에게 1인당 최대 100만원을 지급하는 등 서울시가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고용위기 극복대책’ 예산 235억원을 확보했다고 4일 밝혔다.
먼저 시는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집합금지 명령·제한 피해업체 노동자 5500명에게 고용유지지원금을 지원한다. 5일 이상 무급휴직자 중 고용이 유지된 노동자에 한해 최대 100만원을 지급한다. 아울러 신규채용 축소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서울형 강소기업에서 인턴으로 일할 수 있도록 예산을 지급한다. 기업 200개사가 2명씩 모집할 수 있고, 인턴에게는 2개월 동안 급여로 월 250만원을 받는다. 현직자 및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직무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동시에 진행해 취업 경쟁력을 키운다는 계획이다.
인턴을 정규직으로 채용할 경우 서울형 강소기업에 지원하던 1인당 1000만원 근무환경개선금 외에 200만원을 추가 지급한다. 서울형 강소기업은 높은 고용안정성과 급여 수준을 갖춘 기업으로 현재 총 661개가 지정돼 있다.
저소득층, 실직자, 휴·폐업자, 특수고용노동자, 프리랜서 등 취업취약계층 4528명에게 생활방역 지원과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등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공공일자리가 제공된다. 근무자들은 2개월 동안 주당 40시간 내로 일하고 월 최대 180만원을 받는다. 해당 지원 사업들에 참여하려면 각 자치구나 서울시 해당 부서에 방문하거나 이메일로 신청서를 접수하면 된다.
이번 지원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직간접적인 피해를 본 취업 취약계층에 초점이 맞춰졌다. “정부 지원정책의 사각지대를 발굴해 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조치라는 설명이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