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오후 경기도청 구관2층 브리핑룸에서 임승관 코로나19 긴급대책단 공동단장이 온라인으로 도, 의료관련 요양시설·복지시설에 코로나19 방역 역량 집중 긴급 브리핑을 하고 있다.
경기도가 노인복지시설과 정신요양시설 등에서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이어지자 코로나19에 취약한 고위험시설 관리대상 범위를 현행 5종에서 12종으로 확대했다.
임승관 경기도 코로나19 긴급대책단 공동단장은 2일 ‘취약시설 코로나 환자 집단 발생에 대한 대응 계획’에서 “이달 1일 0시 기준 도내 발생 코로나19 총 확진자 5441명 중 309명(5.68%)이 요양시설·사회복지시설 등에서 감염된 의료 관련 감염자”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의료 관련 감염자 비율이 8월에 2.03%에 불과했으나 9월 6.78%, 10월 13.53%로 급격히 증가했고 의료 관련 감염 확진자의 단순 사망률은 11.65%로 그렇지 않은 경우(1.04%)보다 11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밝혔다.
경기도는 이에 따라 기존 5종 시설(요양병원/노인요양시설/노인 주·야간 보호서비스/정신병원/정신 재활, 요양시설)에 7종의 시설을 감염 고위험시설로 추가했다. 7종 고위험시설은 △노인주거시설 △장애인생활시설 △장애인 지역사회 재활시설 △장애인직업 재활시설 △노숙인 생활시설 △노숙인 이용시설 △재활병원이다.
고위험시설에 포함되면 입소자 면회가 제한적으로 허용되며, 시설별 신규 이용자의 경우 진단검사가 의무화된다. 종사자나 환자는 하루 두 차례 모니터링해야 하며 이를 경기도 코로나 모니터링 온라인시스템에 입력해야 한다.
한편, 경기도에는 339개의 요양병원이 운영 중이다. 전국 요양병원 1584개 가운데 21.4%를 차지하는 규모다. 노인복지시설, 정신요양시설 등 취약시설은 3886개로 전국 취약시설(1만5097개) 가운데 27%가 도내에서 운영되고 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