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장기화로 전 국민의 절반 이상이 불안과 우울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3월 22∼23일 전국에서 20살 이상 2000명을 대상으로 모바일·웹 설문조사(신뢰 수준 95%, 표본오차 ±2.19%)를 한 결과, ‘코로나19로 불안·우울하다’는 응답 비율이 55.8%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지난해 4월 같은 조사에서 47.5%와 견줘 8.3%포인트가 늘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17.7%가 우울증 위험군, 12.7%는 불안 장애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성별로는 여성(우울증 19.9%, 불안 장애 14.0%)이 남성(우울증 15.5%, 불안 장애 11.3%)에 견줘 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우울증은 20대(22.4%)와 60대 이상(18.3%), 불안 장애는 20대(14.9%)와 30대(14.8%)의 비중이 높았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66.4%는 코로나19가 ‘일상생활을 방해한다’, 30.6%는 코로나19로 ‘수면의 질이 나빠졌다’고 답했다. 8.3%는 코로나19로 극단적인 선택도 생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은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번 조사 결과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낙인 인식도가 매우 높았다”며 “이는 대상자들을 사회로부터 심리적으로 격리, 불안·우울감을 더 악화하는 만큼 이를 해소할 캠페인 등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감염병 유행은 국민에게 불안·공포를 가져오고, 이는 정부 정책에 대한 국민 신뢰도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국민 정신건강을 지키기 위해 투명하게 정보를 공개하고 정책 접근성을 높이는 등 ‘국민 눈높이 심리방역 추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