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 방역당국이 코로나19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춘천시 제공
춘천과 철원 등 강원도내 곳곳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강원도 방역당국의 선제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춘천시 방역당국은 23일 60대 1명(63번째), 50대 1명(64번째), 20∼40대(65∼69번째) 5명 등 모두 7명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63번째 확진자는 춘천 52번째 확진자의 접촉자이며, 64번째 확진자는 가족 확진으로 검사를 받았다.
65~69번째 확진자는 같은 회사 직원으로, 서울에 사는 동료가 확진 판정을 받아 검사를 받았다.
이날 철원에서도 코로나19 확진자 3명이 발생했다. 20대 군인(철원 84번째)과 그의 가족(철원 82번째)은 앞서 확진된 영외 거주 군인인 경기 포천 172번째 확진자와 관련된 이들을 전수 검사하는 과정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다. 지역 요양원 이용자인 30대(철원 83번째)는 지난주 요양원이 동일집단(코호트) 격리에 들어가 추가 동선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강원도내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자 강원도내 감염병 관련 전문가들이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등 선제 대응을 강원도에 요구하고 나섰다. 강원도내 평균(11월15~21일) 확진자 수는 16.4명으로 1.5단계 격상 기준인 10명을 훌쩍 넘어섰다. 수도권은 지난 17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를 1.5단계로 격상한 데 이어 24일부터 2단계 격상을 결정했지만 강원도는 원주, 철원, 횡성만 거리두기 1.5단계를 시행하고 있다.
강원도 감염병 전문가 교수 모임은 성명을 통해 “선제 대응이 중요한 시기에 기준을 넘어섰는데도 강력한 방역 조처 시행이 지연되고 있다. 선제로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면, 강원도민의 건강과 생명은 큰 위기에 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들은 이어 “공식적인 권한을 갖는 도 단위의 ‘민관 합동 방역대책본부’를 결성해야 한다. 최근 도 차원의 대응을 보며 신속한 방역정책 결정을 새로운 논의 구조가 필요하다고 절감했다. 이를 통해 방역대응 인력 확보와 생활방역 단계 격상, 병상 자원 확보 등을 민과 관이 함께 논의해 결정하자”고 제안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