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6일 전남노동권익센터 관계자가 전남 여수터미널에서 ‘코로나19 노동환경설문’ 조사를 하고 있다. 전남노동권익센터 제공
코로나19로 인해 전남지역 노동자 10명 중 4명은 소득이 감소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3일 전남노동권익센터는 지난달 8~21일 전남 거주 노동자 381명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와 전남지역노동환경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코로나19 이후 월평균 소득이 감소했다고 응답한 사람은 165명(44%)으로, 이 중 103명은 기존보다 30∼50%, 62명은 10∼30% 줄었다고 답했다. 가구 소득이 감소했다는 응답자도 전체의 48%인 183명으로 나타났다.
센터는 전체 응답자 중 정규직군과 비정규직군 비율이 각각 49%와 51%인 점을 고려할 때 비정규직군의 소득 감소가 큰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전체 응답자의 65%(246명)는 코로나 발생 이전과 비교해 노동시간에 변화가 없다고 답했지만 27%(103명)는 노동시간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응답자 36%(130명)는 회사의 권유로 휴가를 사용했거나 휴업으로 일하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를 예방하기 위해 회사가 마스크나 손 소독제 등을 지원하는지 등을 묻는 말에는 31%(117명)가 지원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응답자 85%는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못해 실업급여를 받지 못하는 특수고용·프리랜서 직종 종사자들에게 전남도가 특별지원을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지원금의 적정액은 53%(154명)가 50만원, 32%(94명)가 30만원 순으로 답했다.
문길주 센터장은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소규모 사업장 종사자나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타격을 크게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소득의 감소에 대한 보전방안이 먼저 고려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