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창 안에 갇힌 진실

등록 2019-10-04 05:59수정 2019-10-04 20:33

박현주의 장르문학 읽기
우먼 인 윈도
A. J. 핀 지음, 부선희 옮김/비채(2019)

의심은 추리소설을 정의하는 주요 키워드이다. 추리소설은 늘 누군가를 의심하는 장르였지만, 의심받는 대상에 따라서 장르가 달라진다. 요즈음 영미 추리소설의 중심이 된 심리 스릴러는 소설 주인공의 시점을 의심한다. 이 사람이 말하는 게, 혹은 보았다고 믿은 것이 과연 진실일까?

A. J. 핀의 <우먼 인 윈도>는 소설의 안과 밖에서 진실에 관한 질문을 던지는 흥미로운 소설이다. 여기서 흥미롭다고 말한 건 일단 내용이다. 심리 치료사인 의사 애나는 집 밖으로 한 발짝도 나갈 수 없는 광장공포증을 겪고 있다. 남편과 딸은 멀리 두고 고독한 삶을 살아가는 애나의 취미는 이웃들의 삶을 관찰하는 것이다. 소설에서 남을 바라보는 사람들이 겪어야 할 당연한 운명대로, 애나는 타인의 죽음을 목격하지만 아무도 그 말을 믿어주지 않는다.

이쯤 보면 애나의 영화 취향이 뭔지 짐작할 수 있다. 이 소설의 주요 골격은 앨프리드 히치콕의 <이창>에서 따왔다. 하지만 애나가 사고로 다친 건 제임스 스튜어트처럼 다리가 아니라 마음이다. 술과 약이 없으면 하루를 보내기 어려운 애나의 목격담을 독자들조차도 믿을 수 없다. 심리 스릴러는 믿을 수 없는 화자를 내세워 독자들의 의심을 증폭시킨다. 살인은 있었는가? 살인이 있었다면 살인자는 누구일까? 그에 앞서 피살자는 누구일까? 나의 현실은 과연 진실일까? <우먼 인 윈도>는 정형적인 플롯 안에 이런 질문들의 답을 솜씨 있게 배치해 긴 이야기를 끌고 나간다.

한편, <우먼 인 윈도>의 흥미는 소설 외적인 부분에서 오기도 한다. 올해 2월, 미국 <뉴요커>지는 “서스펜스 소설가의 기만의 행적”이라는 제목으로 댄 말로리의 진실을 파고드는 긴 기사를 실었다. 베스트셀러 작가인 말로리는 매력적이고 다양한 이력을 거친 사람이었다. 하지만 차츰 그의 이야기에는 어긋나는 점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슬픈 가정사, 유명인들과 함께 일한 사소한 에피소드, 난관을 극복한 성공담, 말로리의 사연 중 많은 부분이 거짓으로 확인되고 있다는 것이 기사의 요지였다. 댄 말로리의 다른 이름이 바로 A. J. 핀이다. 그는 양극성장애를 앓고 있다는 말로 해명을 대신했다.

의심스러운 화자의 존재가 <우먼 인 윈도>의 안과 밖에 있다. 작가 본인을 투영한 이 작품에서 “창 안의 여자”는 길 건너에서 보인 광경만은 아니다. 컴퓨터라는 창을 통해서만 세상을 접할 수 있는 애나처럼 우리도 창 안에 갇힌 것이 아닐는지? 가짜 뉴스가 난무하는 바깥세상의 진실도 알 수 없을뿐더러 자기의 진실도 알 수 없다. 헛되이 불가지론자가 되고 싶진 않지만, 누구나 거짓처럼 보이는 진실과 진실처럼 보이는 거짓을 말할 수 있다. 그럼에도 진실을 찾는 이가 있다. 이것이 현재 우리가 처한 포스트-트루스 시대의 현실 인식이라는 생각이 든다.

작가, 번역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