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감독협회가 발표한 코로나19 긴급성명서.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고사 위기에 몰린 한국 영화계가 한목소리로 정부의 지원을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영화 프로듀서조합·감독조합·촬영감독조합·제작가협회를 비롯해 영화 상영관협회·마케팅사협회, 예술영화관협회, 씨지브이·롯데시네마·메가박스 등 한국 영화계를 총망라한 단체들은 ‘코로나대책영화인연대회의’라는 이름으로 25일 ‘코로나19로 영화산업 붕괴 위기,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코로나19 사태 이후 영화 관람객은 하루 2만명 내외로 작년에 비해 85% 감소하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 영화산업 전체 매출 중 영화관 매출이 약 80%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영화관의 매출 감소는 곧 영화산업 전체의 붕괴를 의미한다”고 밝혔다.
이어 “벌써 영화 관련 기업들은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하나둘씩 가족과 같은 직원들과 작별을 고하고 있다. 영화산업의 위기는 결국 대량 실업사태를 초래하고 이로 인해 한국영화의 급격한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은 명약관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영화산업을 특별고용지원 업종으로 선정할 것, 영화산업 피해 지원을 위한 정부의 금융 지원 정책을 당장 시행할 것, 정부의 지원 예산을 편성하고 영화발전기금 또한 지원 비용으로 긴급 투입할 것 등을 문체부와 영진위에 촉구했다. 정부가 최근 여행업·관광숙박업·관광운송업·공연업 4개 업종을 특별고용지원 업종으로 지정하고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으나, 영화산업은 빠져 있어 영화인들이 긴급하게 모여 목소리를 낸 것으로 보인다.
한국영화감독협회도 이날 ‘코로나19 긴급성명서’를 발표해 정부의 지원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대한민국 영화계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100년 만에 가장 큰 위기를 맞았다. 영화관 관객 숫자는 매주 역대 최저를 기록하고 있고, 영화 촬영 현장은 멈추거나 세트로 대체되면서 그 피해 규모도 날이 갈수록 커지는 중이다. 투자사, 배급사, 제작사뿐 아니라, 홍보, 광고, 마케팅과 디자인 등 유관업계의 피해도 심각하다”고 호소했다.
이어 “정부와 공공기관이 즉각적인 행동으로 한국 영화계의 재난 지원을 즉시 실행해야 한다. 우선 일시 해고되었거나 코로나로 일자리를 잃은 영화인의 고용 지원금을 즉시 지급해야 한다. 2020년 정부 예산안에 편성된 영화발전기금은 1015억원이다. 지금 당장 중점사업의 방향을 긴급구호로 바꿔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런 요구가 이어지는 가운데 영진위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영화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필요한 지원 업무를 담당하는 전담 대응 창구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영진위는 ‘코로나19 전담 대응 티에프(TF)’(051-720-4866)를 설치했다고 이날 밝혔다.
영진위는 “위원회 사무 행정 체계가 한국 영화 제작·배급·상영 지원 사업 위주로 편제돼, 코로나19 확산이라는 초유의 위기 상황에 기만하게 대응하지 못했다. 대응 창구 일원화를 통해 효율적인 지원을 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코로나19로 인한 영화계 전반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영화인들의 일자리 보전과 국민의 안전한 문화 향유를 위해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