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다문화 예능 전성시대, 한국인이 즐겨보는 이유
외국인이 나오는 다문화 예능이 전성시대입니다.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MBC every1)를 비롯해 ‘나의 외사친’(JTBC), ‘내 방을 여행하는 낯선 이를 위한 안내서’(SBS) 등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명절 때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장기자랑이나 노래자랑이 외국인 예능의 시초입니다. 그 시절엔 외국인 가운데 누가 우리말과 노래를 더 잘하는지, 얼마나 한국 사람이 되었느냐가 중요한 기준이었습니다. ‘외국인의 한국화’가 명절 예능의 주요 관심사였습니다.
외국인 예능이 본격적으로 문화에 집중해 ‘다문화 예능’으로 진화한 것이 한국방송의 ‘미녀들의 수다’입니다.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여성들을 모아놓고 나라별로 문화와 생각이 어떻게 다른지를 보여주는 토크쇼였습니다. 의 ‘비정상회담’도 미녀가 미남으로 바뀌었을 뿐 비슷한 포맷의 프로그램입니다. 는 외국인 예능과 여행을 결합시킨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를 선보이면서 본격적인 외국인·다문화 예능의 시대를 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다문화 예능은 지구촌 시대에 여러 나라의 다양한 문화를 체험하면서 한국인과 한국 문화를 돌아보게 한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출연자들이 한국인과 한국문화에 대해 지나친 칭찬 일색이어서 외국인 입을 빌린 ‘국뽕’이라는 비판도 있습니다.
이번주 잉여싸롱에서는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와 ‘나의 외사친’를 중심으로 외국인·다문화 예능의 역사와 인기를 끄는 이유, 한국인 시청자들의 심리 등을 놓고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연출 박종찬 기자, 정주용 위준영 피디 pjc@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