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오후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스크린쿼터 사수를 위한 영화인대회’에 참석한 <왕의 남자>의 이준기씨(오른쪽)와 <댄서의 순정>의 문근영씨가 투쟁결의문을 읽은 뒤 박수를 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스타급 배우 100명 등 ‘스크린쿼터 사수대회’
하루 한국영화 제작 중단
하루 한국영화 제작 중단
스크린쿼터 사수 영화인 대책위원회(정지영 안성기 이춘연 신우철 공동위원장)는 8일 오후 서울 광화문에서 ‘문화 침략 저지 및 스크린쿼터 사수를 위한 영화인대회’를 열고 정부의 스크린쿼터 축소 방침을 규탄했다. 집회에는 영하의 차가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100여명의 스타급 배우를 비롯해 감독, 제작자, 스태프와 영화과 학생 등 2천여명(경찰 추산)이 참가했다. 영화인들은 투쟁결의문을 통해 “가파른 성장국면에 놓인 한국영화의 마지막 안전판이 되어야 할 스크린쿼터가 축소된다면 무엇으로 막강한 자본을 바탕으로 한 할리우드 물량공세를 막아낼 수 있겠는가”라며 “노무현 정부는 우리 영화와 문화를 팔아먹은 치욕스러운 정권으로 역사에 남지 말기를 엄중히 경고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재경부, 외교부, 문화부 장관 퇴진과 스크린쿼터 입법화를 위한 영화진흥법 개정을 촉구했다. 전날 1인 시위를 하면서 정부로부터 받은 옥관문화훈장을 반납했던 배우 최민식씨는 안성기 공동위원장과 함께 무대에 올라가 “영화인들의 투쟁을 밥그릇 지키기 싸움이 아니냐고 말을 하는데 맞다, 그러나 영화인들의 밥그릇이 아니라 한국과 미국이 영화와 문화를 앞에 두고 벌이는 밥그릇 싸움”이라고 말해 큰 박수를 받았다. 이날 한국영화 제작 중단 결의에 따라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촬영을 중단하고 주연배우인 강동원, 이나영과 집회에 참가한 송해성 감독은 “군부독재 시절에도 지켜졌던 문화주권이 민주화 정권에서 무너진다는 게 슬픈 아이러니”라고 말했다. 이날 시위에는 98년 스크린쿼터 사수투쟁에서 삭발했던 임권택 감독 등 한국영화계의 원로를 비롯해 봉준호, 김지운 등 감독과 문근영, 이준기 등 스타급 배우, 최진욱 한국영화산업노조위원장, 황철민 한국독립영화 이사장 등 독립영화인 및 문경식 전국농민회총연맹의장, 신학림 언론노조 위원장, 박원순 아름다운재단 상임이사 등 시민단체 대표들도 참석해 지지연설을 했다. 집회는 백윤식, 이병헌, 전도연, 황정민 등 배우와 김대승, 임순례 감독 등의 투쟁결의문 낭독 뒤 명동까지 거리행진으로 이어졌다. 대책위는 1인 시위를 9일부터 다시 시작하고, 17일 광화문에서 영화인과 국민이 함께 하는 대규모 촛불 문화 행사를 열 계획이다. 전정윤, 임인택 기자 ggum@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