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살아있다’ 극장가 살렸다…개봉 첫 주말 100만 돌파

등록 2020-06-28 17:33수정 2020-06-29 02:35

[7~8월 성수기 ‘영화 흥행’ 이어갈까]
영화 <#살아있다> 스틸컷. 롯데컬처웍스 제공
영화 <#살아있다> 스틸컷. 롯데컬처웍스 제공

코로나19 영향으로 고사 위기에 몰렸던 극장가가 영화 <#살아있다>로 살아나고 있다.

유아인·박신혜 주연 좀비물 <#살아있다>는 개봉 닷새째인 28일 오후 100만 관객을 돌파했다.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한 지난 3월 이후 개봉작 중 100만 관객을 넘긴 건 처음이다.

<#살아있다>는 지난 24일 개봉 첫날부터 20만4072명을 동원하며 화제를 모았다. 지난 2월 개봉한 <정직한 후보>(10만9879명), <클로젯>(9만6638명),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7만7962명)의 오프닝 성적을 넘어선 것이다. 올해 개봉작 중에선 1월22일 개봉해 최종 475만여명을 모은 <남산의 부장들>(25만2058명) 이후 최고 오프닝 성적이다. 이후 둘째 날 14만8991명, 셋째 날 15만2560명, 넷째 날 29만4263명을 동원하며 분위기를 이어가더니 결국 개봉 첫 주말 100만 돌파라는 쾌거를 이뤘다. 그동안 숨죽였던 관객들이 대작 영화에 얼마나 목말라 있었는지 가늠할 수 있는 대목이다.

관객이 급증한 데는 영화관 입장료 6천원 할인권의 효과도 어느 정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영진위는 침체한 극장가와 영화계를 살리기 위해 ‘극장에서 다시, 봄’ 캠페인을 펼치며 지난 4일부터 영화관 할인권 133만장을 배포했다. 이 시기에 한국영화 기대작 <침입자> <결백> 등이 잇따라 개봉하면서 3주간 211만여명을 극장으로 불러들였다. 이는 5월 전체 관객 수 153만여명보다 37% 증가한 수치다. 영진위는 애초 3주로 예정했던 할인권 이벤트를 28일까지 한주 더 연장했고, 코로나19 확산 이후 가장 큰 작품이라 할 수 있는 <#살아있다> 개봉과 맞물리면서 극장가가 되살아난 것이다.

영화 &lt;반도&gt; 스틸컷. 뉴 제공
영화 <반도> 스틸컷. 뉴 제공

이런 상승 분위기가 7~8월 여름 성수기까지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우선 <반도>가 새달 15일 개봉을 확정하며 <#살아있다>의 뒤를 이을 채비를 마쳤다. 한국 좀비 영화의 신기원을 열며 천만 클럽에 이름을 올린 <부산행> 연상호 감독의 신작으로, <부산행>의 4년 뒤를 배경으로 하는 속편 격이다. 강동원·이정현이 주연을 맡아 좀비 바이러스로 폐허가 된 반도에서 사투를 펼친다.

할리우드 대작도 가세한다. <다크 나이트> <인셉션> <인터스텔라> <덩케르크> 등으로 유명한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의 신작 <테넷>이 여름 개봉을 예고했다. 3차 세계대전을 막기 위해 시간을 넘나드는 작전을 펼치는 첩보원들의 활약상을 담은 영화다. 애초 7월 말 개봉을 예고했으나 미국 상황이 여의치 않자 8월12일로 연기했다. 디즈니 영화 <뮬란>도 개봉을 7월24일에서 8월21일로 연기했다. 동명 애니메이션을 실사화한 영화로, 류이페이(유역비)가 주연을 맡았다.

영화 &lt;다만 악에서 구하소서&gt; 스틸컷. 씨제이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스틸컷. 씨제이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 &lt;강철비2: 정상회담&gt; 스틸컷. 롯데컬처웍스 제공
영화 <강철비2: 정상회담> 스틸컷. 롯데컬처웍스 제공

8월에는 한국영화 대작 두편이 기다린다. 씨제이엔터테인먼트는 애초 여름 개봉작으로 내세웠던 뮤지컬 영화 <영웅>의 개봉을 미루고, 대신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를 8월에 개봉하기로 했다. 황정민·이정재·박정민이 출연하는 하드보일드 추격 액션 영화다. 롯데컬처웍스는 류승완 감독의 신작 <모가디슈>를 미루고 <강철비2: 정상회담>을 내세웠다. <변호인> 양우석 감독의 신작으로, 전작 <강철비>의 세계관을 잇는 영화다. 정우성·곽도원·유연석이 출연해 남·북·미 정상회담 도중 북의 쿠데타로 세 정상이 북한 핵잠수함에 납치된 상황을 그린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