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학술

예수회에 맞선 장세니스트의 본거지, 포르루아얄 데샹 수녀원

등록 2020-11-14 11:54수정 2020-11-14 12:08

[토요판] 주명철의 프랑스 역사산책
(21) 포르루아얄 데샹 수녀원

17세기 거물 귀족 딸 자클린
수도생활과 속세 철저히 분리
순명·청빈 실천하는 수녀원
장세니우스 추종자들 거점 돼

신 은총에 의한 구원론 강조
교황과 예수회의 탄압 불러
18세기초 루이 14세 수도원 폐쇄
결국은 예수회가 되레 몰락
로마 교황의 권위에 대한 복종을 강조한 예수회와 달리, 은총을 통한 구원을 주장한 장세니스트들의 중심지였던 포르루아얄 데샹 수녀원. 예수회를 옹호한 루이 14세가 1709년 이 수도원의 폐쇄를 명령함에 따라 대부분의 건물과 부속묘지 등이 파괴되고, 예배당 일부 등 몇몇 건물만 남았다. 위키피디아
로마 교황의 권위에 대한 복종을 강조한 예수회와 달리, 은총을 통한 구원을 주장한 장세니스트들의 중심지였던 포르루아얄 데샹 수녀원. 예수회를 옹호한 루이 14세가 1709년 이 수도원의 폐쇄를 명령함에 따라 대부분의 건물과 부속묘지 등이 파괴되고, 예배당 일부 등 몇몇 건물만 남았다. 위키피디아

16세기 유럽에서는 코페르니쿠스의 태양중심설과 베살리우스의 인체구조론이 새로운 우주관과 인간관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욱이 원거리 항해로 유럽인이 미지의 세계와 만나면서 ‘초기 지구화 시대’를 맞이했다. 이렇게 과학혁명의 길이 열리고 있을 때 마르틴 루터는 오직 성서와 믿음을 강조하면서 개신교가 생기는 길을 열었다.

16세기 프랑스의 종교전쟁은 본질적으로 신구교도의 충돌이었지만, 17세기 유럽의 30년 전쟁은 신구교국이 시작하고 결국 구교국가끼리도 싸우게 만든 참극이었다. 더욱이 가톨릭교계에서는 예수회의 교황권지상주의(Ultramontanisme)와 영국교회주의(Anglicanism)·프랑스교회주의(Gallicanisme)가 맞섰다. 영국교회는 헨리 8세가 독립시켰지만, 프랑스에서는 왕권에 도전하는 고등법원 인사들과 지식인들이 교황의 간섭을 비판했다.

포르루아얄 수녀원 탄압 사건과 18세기 중엽 예수회 축출의 배경에는 이처럼 정치적 이유도 있었다. 이 수녀원의 역사는 1204년에 포루아(Porrois) 골짜기에서 시작한다. 이 골짜기는 나중에 슈브뢰즈 골짜기로 이름이 바뀌었고, 오늘날 베르사유궁 남서쪽 15㎞에 있다. 그리고 포루아도 포르루아얄로 바뀌었다. 그리하여 수녀원 이름은 포르루아얄 데샹(Port Royal des Champs)이 되었다.

아버지 면회를 거부한 앙젤리크

앙리 4세 치세에 거물급 귀족인 앙투안 아르노는 자식 20명을 낳았고, 10명만 살아남았다. 그는 1599년 자클린이 8살이 되자 포르루아얄 데샹 수녀원의 부원장직에 앉혔다. 자클린은 파리의 북동쪽 50㎞에 있는 모뷔송 수녀원에서 공부한 뒤 11살에 포르루아얄 데샹 수녀원장으로 취임했다. 자클린은 순명·정결·청빈과 일·기도·휴식을 철저히 지켰다. 수녀들은 자클린 아르노를 원장수녀 앙젤리크라고 불렀다.

1609년 9월 원장수녀 앙젤리크는 아버지와 가족을 문전박대했다. ‘포르루아얄 면회거부 사건’은 수도생활과 속세를 철저히 분리하려는 단호한 의지의 표현이었다. 모든 프랑스인이 15세기 중엽 이후 종교전쟁에 휩쓸려 종교와 속세의 삶을 분리하지 못하고 날로 각박하고 잔인하게 살던 시절에 원장수녀 앙젤리크는 가족의 연까지 끊으면서 종교를 지켰다.

포르루아얄 데샹 수녀원장을 지내면서 장세니슴의 가르침을 실천한 원장수녀 앙젤리크. 17세기 프랑스 화가 필리프 드 샹파뉴 작품. 위키피디아
포르루아얄 데샹 수녀원장을 지내면서 장세니슴의 가르침을 실천한 원장수녀 앙젤리크. 17세기 프랑스 화가 필리프 드 샹파뉴 작품. 위키피디아

원장수녀 앙젤리크는 프랑수아 드 살의 영향을 받았다. 1567년 사부아 지방 살 백작의 아들로 태어난 프랑수아는 1578년부터 파리의 예수회 학교에서 6년 동안 신학·히브리어·그리스어를 배우고 1584년에 아버지의 뜻대로 이탈리아의 파도바로 가서 법학을 공부했다. 그러나 그는 1593년 종교인이 되려는 결심을 굳혔다. 그는 제네바 주교의 보좌신부가 되어 가톨릭교도와 위그노(칼뱅파 개신교도)를 화해시키려고 노력했고, 제네바 레만 호수의 남동쪽 샤블레 주민들을 가톨릭교로 개종시켰다.

프랑수아 드 살은 제네바 주교구의 35개 소교구를 복원하고 1601년 사순절(부활절 전 40일간)에는 안시에서 설교했다. 제네바 남쪽 40여㎞에 있는 안시는 알프스 산맥의 풍광이 아름다운 호반도시로 18세기 계몽사상가인 장 자크 루소와 관련 있다. 1712년에 제네바에서 태어난 장 자크 루소는 산욕열로 어머니를 잃었다. 시계 장인인 아버지는 작업대에 어린 루소를 앉히고 이야기책을 읽어주었다. 글을 깨친 루소는 어머니가 남긴 고전을 읽었다. 그는 아버지가 재혼한 뒤 제네바를 떠났다. 15살의 루소는 소개장을 들고 안시에 사는 마담 드 바랑을 찾아갔다. 그는 바랑 부인의 집에서 새로운 악보 표기법을 연구했다. 내가 안시에 들렀을 때 그 집은 음악학교였고, 루소의 흉상과 함께 ‘1728년 봄에 바랑 부인을 만난 곳’이라는 설명을 보았다. 루소는 ‘엄마’로 부르면서 따르던 바랑 부인을 통해 성경험을 했다고 <고백>에서 털어놓았다.

프랑수아 드 살은 1601년 사순절에 안시에서 파리로 갔다. 그는 루브르궁에서 유창한 설교로 위그노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그는 앙리 4세를 자주 만나 설교했고, 질투와 모함을 받게 되자 미련 없이 궁을 떠났다. 그는 1602년에 제네바 주교가 되었고, 리옹 근처의 마을을 돌면서 과거의 잘못을 추궁하지 않겠다고 하면서 수많은 개신교도를 가톨릭교도로 만들었다.

1604년 사순절에 그는 디종에서 설교했고, 잔 드 샹탈을 만났다. 잔은 부르고뉴 고등법원 부장판사의 딸이며, 남편 크리스토프 라뷔탱샹탈 남작이 죽은 뒤 수녀가 되었다. 프랑수아 드 살은 1610년 안시에서 잔 드 샹탈의 도움을 받아 성모방문회(Ordre de la visitation Sainte-Marie)를 설립했다.

살은 검소하고 힘겹게 살면서 7만2천명을 개종시켰는데, 그중에는 거물급 개신교도도 많았다. 1621년에 그는 수도원·수녀원을 개혁했고, 1622년에 세상을 뜰 때까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살고 그들과 함께 살았다. 1665년에 교황은 그를 성인으로 추대했다.

살의 영향을 받은 원장수녀 앙젤리크의 명성을 듣고 수많은 여성이 몰려와 수녀가 되었다. 좁고 외진 골짜기에 있어서 습하고 비위생적인 수녀원은 더욱 비좁아졌다. 앙젤리크는 1625년에 파리 센강 남쪽에 땅을 사서 포르루아얄 드 파리 수녀원을 마련했다. 그 땅은 16세기 루브르궁을 개축한 건축가 레스코가 소유한 클라니 저택과 부속토지였다.

패권주의 전쟁 비판한 장세니우스

랑그르 주교 등 수많은 거물급 인사들의 기부를 받아 파리로 옮긴 뒤, 포르루아얄 데샹에는 앙젤리크의 20년 아래 막내 동생이며 신학자·철학자·장세니스트인 앙투안 아르노(‘대 아르노’ Le Grand Arnaud라는 별명으로, 아버지와 구별한다)가 사상적 동지들과 함께 살았다. 그들을 “포르루아얄의 은자들”이라고 부른다. 그들은 장세니우스를 추종했고, 소학교 교육과 저술을 통해 예수회와 경쟁했다.

신의 은총을 통한 구원론(장세니슴)을 정립한 네덜란드 출신의 장세니우스(얀센)의 초상화. 17세기 화가 장 모랭의 그림. ♣위키피디아
신의 은총을 통한 구원론(장세니슴)을 정립한 네덜란드 출신의 장세니우스(얀센)의 초상화. 17세기 화가 장 모랭의 그림. ♣위키피디아

1585년에 네덜란드 레이르담 근처에서 태어난 코르넬리우스 오토 장세니우스는 루뱅 대학교에서 5세기 초 이포의 주교였던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을 받아들였고, 예수회파와 신학적 토론을 벌였다. 그는 장 뒤베르지에 드 오란과 뜻이 맞았다. 두 사람은 루뱅 대학교 동창생, 또는 파리에서 처음 만난 사이라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장세니우스는 루뱅 대학교에서 가장 우수한 박사라는 명예를 안고 졸업한 뒤, 1609년에 파리 소르본으로 갔다. 장 뒤베르지에 드 오란은 장세니우스에게 편의를 제공했다. 두 사람은 교부들의 철학을 공부하면서 교회 개혁에 힘썼다. 장세니우스는 1617년에 성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에 대한 책을 쓰기 시작했다.

1635년에 리슐리외 추기경이 에스파냐를 견제하기 위해 참전하자, 장세니우스는 <전쟁의 신 마르스>를 써서 그의 패권주의를 비판했다. 1636년에 이프르(Ypres, 벨기에의 Ieper) 주교가 된 그는 1638년 흑사병으로 숨졌다.

장 뒤베르지에 드 오란은 1618년에 사제 서품을 받고 1620년에 푸아티에 주교로부터 생시랑 수도원장직을 받았다. 그도 리슐리외 추기경을 비판하다가 1638년에 뱅센 감옥에 갇혔으며 1642년 12월에 추기경이 죽은 뒤에야 풀려났다. 그는 1633년부터 아르노 가문과 가까이 지냈고, 그런 인연으로 포르루아얄 드 파리의 신앙생활 지도자가 되었다.

1640년에 장세니우스의 유작인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나왔다. 저자는 인간이 원죄를 안고 태어났음에도 하느님의 은총으로 구원받을 수 있으며, 그것은 예정된 운명이라고 주장했다. 그의 사상인 장세니슴은 7성사(세례, 고해, 혼인 등 7가지 특별한 예식으로 하느님의 은총을 보이는 표지로 해석) 같은 중요한 행사를 부정하고, 오직 하느님의 은총만이 인간을 구원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교황과 예수회의 탄압을 받았다. 1641년부터 장세니슴 신봉자를 얕보는 ‘장세니스트’라는 말이 생겼다.

생시랑 수도원장인 장 뒤베르지에 드 오란은 파리고등법원 인사들과 친했기 때문에 1648년에 프롱드 난이 일어났을 때 그의 가르침을 받던 포르루아얄 드 파리 수녀원도 영향을 받았다. 원장수녀 앙젤리크는 파리에서 시골로 거처를 옮기고, 거기 살던 은자들을 수녀원 변두리에 살도록 했다.

1655년에 궁중귀족인 리앙쿠르 공작이 장세니스트라는 이유로 본당 신부의 사면을 받지 못하는 사건이 일어났을 때, 원장수녀의 막내 동생 ‘대 아르노’는 장세니슴을 옹호하는 <지체 높은 이에게 보내는 편지>를 썼고, 그 때문에 소르본에서 쫓겨났다. 블레즈 파스칼 같은 지식인들도 ‘대 아르노’ 편에 섰다.

1674년의 포르루아얄 데샹 수녀원의 전경. 작자 미상. 위키피디아
1674년의 포르루아얄 데샹 수녀원의 전경. 작자 미상. 위키피디아

포르루아얄 데샹 수녀원에서 환자를 치료하는 수녀들. 위키피디아
포르루아얄 데샹 수녀원에서 환자를 치료하는 수녀들. 위키피디아

포르루아얄 데샹 수녀원의 수녀들. 위키피디아
포르루아얄 데샹 수녀원의 수녀들. 위키피디아

루이 14세 명령을 거부한 대가

1664년에 루이 14세는 장세니슴을 비판하는 교황의 교서를 따르라고 모든 종교인에게 명령했지만, 포르루아얄 드 파리 수녀원은 따르지 않았다. 파리 대주교는 73살의 원장수녀 아녜스(앙젤리크 동생)와 수녀 73명을 포르루아얄 데샹으로 보내고, 나머지 수녀를 다른 수도원에 분산시켰다. 1668년에 왕은 파리와 시골의 두 수녀원을 완전히 분리시키고 파리 수녀원을 예수회에 주었다.

이어 1709년 7월 루이 14세는 장세니슴의 중심지인 시골의 포르루아얄 데샹을 폐쇄하라고 지시했다. 파리 대주교인 추기경 노아유와 파리 치안총감 아르장송 후작은 병력을 동원해서 수녀들을 해산시키고, 건물과 부속묘지까지 파괴했다. 그러나 1750년대까지 장세니스트와 예수회는 싸웠고, 결국 예수회가 졌다. 1750년대 파리 대주교가 장세니스트들에 대한 성사를 금지하자, 파리고등법원의 속인과 종교인 법관들이 반발하고, 그 결과 예수회가 몰락하기 시작했다. 슈브뢰즈 골짜기 옛 수녀원 자리에는 포르루아얄 데샹 국립박물관이 있다.

파리지방고속철의 포르루아얄 역을 나서면 포르루아얄 대로(Boulevard de Port-Royal)의 남쪽에 1814년에 설립한 보들로크 산부인과병원이 옛 수녀원의 위치를 알려주고 있다. 대로의 북쪽에는 발 드 그라스 수도원 자리에 영화 <루시>(2014)에 출현하고 2016년에 문 닫은 군인병원이 있다. 그 옆에 브로카 길(옛 루르신 길)과 파스칼 길이 18세기 초 기적의 중심지 생메다르 교회(앵발리드 편 참조)와 연결되었다.

▶ 한국교원대 명예교수. <바스티유의 금서>와 <파리의 치마 밑> 등 프랑스 사회 및 문화사에 관한 다수의 저서가 있으며, 한국 역사가의 눈으로 해석한 <프랑스 혁명사> 10부작을 지난해 완간했다. 현대 민주주의를 개척해온 프랑스사를 장소와 인물 중심으로 풀어보려고 한다. 격주 연재.

포르루아얄 데샹 수녀원 자리에 있는 박물관 내부. 위키피디아
포르루아얄 데샹 수녀원 자리에 있는 박물관 내부. 위키피디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하버드생 재벌 사위, ‘눈물의 여왕’서 동그랑땡 굽는다 1.

하버드생 재벌 사위, ‘눈물의 여왕’서 동그랑땡 굽는다

원작보다 섬뜩한 연상호판 ‘기생수’, 기생생물은 볼 만한데… 2.

원작보다 섬뜩한 연상호판 ‘기생수’, 기생생물은 볼 만한데…

국립미술관과 회고전시 갈등 빚은 김구림 작가 “한국 떠나겠다” 3.

국립미술관과 회고전시 갈등 빚은 김구림 작가 “한국 떠나겠다”

3월 29일 학술지성 새 책 4.

3월 29일 학술지성 새 책

‘살인자ㅇ난감’ 뜬금없는 베드신·불필요한 노출…이게 최선이었나 5.

‘살인자ㅇ난감’ 뜬금없는 베드신·불필요한 노출…이게 최선이었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