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총파업 이틀째인 8일 오후 경기도 광명시 기아 오토랜드 광명 앞에서 조합원들이 홍보활동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자동차산업연합회가 자동차와 관련 부품을 운송하는 기사들은 화물연대가 요구하는 수준보다 임금이 높다고 밝혔다. 이들은 화물연대의 파업 중단을 요구하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한국자동차산업연합회는 6일 입장문을 내어 “자동차산업을 인질 삼아 파업을 벌인 화물연대를 규탄하고, 사법당국의 법과 원칙에 따른 신속한 조치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화물연대는 이날 오후 2시부터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을 오가는 납품 차량에 대한 운송 거부에 돌입한 상태다.
자동차산업연합회는 완성차 탁송이나 부품물류 등 자동차 관련 물류업종은 안전운임제보다 높은 운임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동차산업연합회는 입장문에서 “화물연대 요구사항은 자동차 관련 운송기사들에게는 해당 사항이 없을 뿐만 아니라 안전운임위원회 등의 활동에 일체 관여한 바도 없다”고 적었다.
업계는 자동차 부품사들의 피해가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완성차 업계는 당장 생산 차질을 빚더라도 버틸 체력이 있지만, 부품사들은 생존위기에 몰렸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자동차산업연합회에 따르면, 자동차 1차 협력업체(상장사 83곳) 가운데 약 60%(49곳)가 전년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감소했고, 적자업체도 약 30%(24곳)에 이른다.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은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완성차 업체들은 수익이 어느 정도 나고 있어서 큰 문제가 아니다. 부품업체들이 문제다. 완성차 쪽에 부품을 넘기지 못하면 수익을 낼 수 없다”며 “거의 빈사상태인데 화물연대 파업까지 발생하니까 상당히 난감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자동차산업연합회는 화물연대 파업이 자동차 산업에 피해를 유발할 경우 고발·고소 등 법적 조치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현재 화물연대 조합원들은 현대차 울산공장 입구에서 조합 소속 납품 차량을 돌려보내고 있다. 다만 비조합원 기사들의 납품 차량까지 막아서지는 않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아직 부품 재고가 남아있어 생산 라인 가동에는 문제가 없다. 조합원 차량이 계속 부품을 날라주지 못하면 가동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날 자동차산업협회의 주장에 대해 화물연대는 “자동차 관련 물류업종이 안전운임제보다 높은 운임을 받는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다. 안전운임제는 해당 품목 운송에 들어가는 원가비용을 선정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기준의 소득을 더해 산정되므로, 타 품목과의 운임을 비교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는 뜻이다.
화물연대 관계자는 “화물연대 총파업의 주요 요구는 안전운임 일몰제 폐지와 전차종, 전품목 확대다. 특히 품목 확대에 있어서 자동차산업의 노동자들 역시 주요한 대상”이라며 “경유가가 리터당 2천원을 넘어가며 25t 일반화물 차량 기준 약 300만원 정도의 추가 유류비가 지출되는 상황에서 자동차부품 역시 안전운임제를 도입해 적정 운임을 보장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안태호 기자
ec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