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충전 속도는 초급속 80% 기준으로 현재 18분 수준이다. 정부가 이를 2030년까지 5분으로 줄인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500㎞ 수준인 1회 충전 주행거리를 2025년까지 600㎞로 늘린다는 목표도 아울러 제시했다.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은 2021년 기준 5%에서 2030년 12%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업계와 공동으로 ‘자동차산업 전략 원탁회의’를 열어 현안을 논의하고 ‘자동차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회의는 자동차 업계의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한 대미 협상 결과를 공유하고 미래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산업부는 전했다.
산업부는 전기차 충전속도 단축과 주행거리 연장을 위해 전기·전자 통합 제어 시스템과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또 차세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해 상용차 기준 현재 30만㎞ 수준인 수소차 내구성을 2030년 80만㎞까지 확대하고 연비는 13㎞/㎏ 수준에서 2030년 17㎞/㎏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공학부 교수(한국전기자동차협회장)는 정부 방안에 대해 “기술의 흐름으로 보아 가능은 할 것으로 보지만 경제성 논리에 따른 효율성 확보가 관건일 것”이라고 말했다. 예컨대, 급속 충전을 하려면 비싼 전기를 끌어와야 하고, 배터리 수명 단축으로 이어지는 등의 문제를 피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또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해 배터리 탑재량을 늘리면 전기차 가격이 높아져 자칫 소비자에겐 ‘그림의 떡’이 될 수 있다.
정부의 ‘자동차산업 글로벌 3강 전략’ 목표.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산업부는 이날 전략 회의에서 전기차 시장 점유율을 12% 수준으로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2026년까지 운영체제(OS), 무선업데이트(OTA) 등 차량용 핵심 소프트웨어를 국산화하기로 했다. 또 올해 224억원 규모인 미래차 인력양성 사업을 확대 개편해, 2030년까지 기업 수요 중심의 소프트웨어 융합인력 1만명을 키우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완성차 회사, 개발자, 정부 간 소프트웨어 개발 협업을 추진하고 차량용 소프트웨어 인증 지원센터를 구축해, 2030년까지 차량용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300곳을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차량용 반도체 분야의 프로세서, 센서, 전력반도체 등 16개 핵심 품목을 집중적으로 개발해 세계시장 점유율을 2021년 3.3% 수준에서 2030년 6.6%로 확대하는 방안도 담았다.
산업부는 규제 걸림돌 해소, 세제 지원 등을 통해 투자를 촉진하겠다는 뜻도 아울러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올해부터 26년까지 5년 동안 완성차 업계의 투자 계획 규모는 95조원 남짓이다.
내연기관차의 고도화 방안도 아울러 추진한다. 내연기관차의 친환경화 기술 개발에 올해 220억원을, 미래차 전환 과정에서 징검다리 역할을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차의 성능 고도화에 37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탄소 중립 연료를 활용한 내연기관차 개발에도 나서 내년에 엔진·차량 실증 사업을 벌이고, 2022~25년 54억원을 들여 수소엔진 원천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미국 인플레 감축법 대응 방안으로는 북미 최종 조립 및 배터리 요건이 우리 기업에 최대한 유리하게 마련될 수 있도록 대미 협상을 이어가겠다고 산업부는 밝혔다. 또 미국 현지에서 이뤄지는 전기차 생산을 앞당기고 법 요건에 맞는 배터리를 조기 확보하는 따위의 업계 차원의 대책도 지속해서 강구하기로 했다. 공급망 안정과 핵심 품목 국산화를 위해 대외 의존도가 높은 품목을 등급별로 관리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대형 모터, 초고속 베어링 등 전기·수소차 핵심부품 14종의 기술 자립화를 지원하고, 전기·수소차 소재 국산화율을 현재 70% 수준에서 2025년 90% 이상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