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서울 강남구 한 빌딩에서 전기차가 충전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8월까지 국내 중고차 시장에서 거래된 내연기관차 대수는 줄어든 반면 전기차 등 친환경차 판매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비가 높은 친환경 차량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2일 자동차시장조사업체인 카이즈유 자료를 보면, 올해 8월까지 거래된 중고승용차는 총 129만7796대로 집계됐다. 연료별로는 휘발유차와 경유차가 각각 73만6446대, 37만8656대 팔려 1, 2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각각 5.2%, 14.1% 줄었다.
친환경차는 판매량이 늘었다.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는 올해 8월까지 각각 3만7205대, 9897대가 거래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3.2%, 53.3%씩 판매량이 늘었다. 친환경차 모델이 최근 2∼3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출시돼 매물이 많지 않은 것을 고려하면 높은 증가율이다.
차종 별로는 스포츠실용차(SUV)보다 세단이 인기가 높았다. 같은 기간 세단은 총 64만8948대가 팔려 점유율의 절반을 가져갔다. 에스유브이는 29만9520대(23.1%)가 거래되면서 세단의 뒤를 이었지만, 판매량은 세단의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국산 중고차 가운데 가장 많이 거래된 차종은 기아의 모닝 티에이(TA)로, 2만9802대가 팔렸다. 현대자동차 그랜저 에이치지(HG)·쉐보레 스파크·현대차 그랜저 아이지(IG)·기아 레이 등 순이었다.
수입 중고차에서는 메르세데스-벤츠의 이(E)클래스 5세대가 1만4516대 거래되면서 1위를 차지했고, 베엠베(BMW) 5시리즈 6세대·베엠베 5시리즈 7세대·벤츠 이클래스 4세대·벤츠 에스(S)클래스 6세대 등 순으로 잘 팔렸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자동차공학)는 “휘발유 중고차는 공급이 부족하고 경유차는 수요가 없어서 거래량이 줄어든 반면, 기술이 검증되고 연비가 높은 하이브리드 중고차는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기차는 새로 출시되는 신차들의 기술 업그레이드 속도가 굉장히 빨라 1∼2년만 타고 중고차 시장에 내놓는 소비자들이 많아 거래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안태호 기자
ec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