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또복권 1057회 2등 당첨이 동시에 103장이 나온 판매점. 안태호 기자
‘한 회차 로또복권 추첨에서 동시에 2등 664장이 나오는 건 확률상 충분히 가능하다’.
최근 로또추첨에서 2등 당첨 사례가 무더기로 나오며 불거진 로또 조작설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민간기관에 검증을 의뢰해 얻은 결론이다. 지금의 복권시스템 및 추첨과정에는 내·외부에서 시도할 수 있는 (실물복권) 위·변조 행위를 방지하는 다양한 장치가 마련돼 있어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는 이런 내용의 연구용역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는 복권시스템 및 추첨과정 검증을, 서울대 통계연구소에는 확률·통계적 검증을 의뢰했다.
기술협회는 시스템에 위·변조 행위 방지를 위한 장치들이 마련돼 당첨 번호 조작이 불가능하다고 결론지었다. 서버와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모두 인가된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고, 복권 발행・당첨 데이터가 총 5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돼 기술·물리적으로 모든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봤다.
추첨기와 추첨하는 공도 이중 잠금장치를 설치한 창고에 보관하고, 개방할 땐 방송국 관계자와 수탁사업자가 봉인번호와 훼손 여부를 함께 확인한다고 설명했다.
서울대 통계연구소는 로또복권 다수 당첨 사례가 발생 가능한지 확률·통계적 검증을 시행했다. 그 결과 로또복권 추첨은 무작위로 이뤄지고 있고, 최근 1‧2등 다수당첨은 확률적으로 충분히 발생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 총 구매 매수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하는 수동 구매도 늘고 있어 다수 당첨이 출현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1등 다수당첨 사례는 영국(2016년·4082명), 필리핀(2022년·433명) 등 해외에서도 발생했다는 사례도 제시했다.
로또 조작 의혹은 지난 3월 1057회 로또복권 추첨 시 당첨 번호 5개와 보너스 번호가 일치한 2등이 전국에서 664장 나오면서 불거졌다. 특히 이 가운데 103장이 서울 동대문구 왕산로의 복권 판매점 한 곳에서 동시에 나왔다. 복권위는 당시 “664장 중에 609장이 특정 번호를 수동으로 선택한 것으로, 선호하는 번호 조합이 우연히 추첨된 결과”라고 밝힌 바 있다.
안태호 기자
ec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