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송영중 상임부회장 거취 결정을 위해 15일 회장단 모임을 열었지만,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조속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경총 쪽은 “자진사퇴 요구”라고 밝혔지만, 경총 내부 직원들도 모호한 발표 내용에 혼란스러워 했다. 송 부회장은 여전히 “자진사퇴는 없다”는 입장이어서, 논란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경총은 이날 오전 7시반 서울 중구 서울클럽에서 손경식 경총 회장과 이장한 종근당 회장, 조규옥 전방 회장 등 11명의 회장단이 모여 송 부회장 거취에 대한 회의를 열었다. 송 부회장도 이날 회의에 참석해 본인 입장을 소명했다.
경총 회장단은 1시간반가량 회의 뒤 ‘경총 회장단 회의 결과’ 자료를 통해 “경총 회장단은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점에 대해 매우 유감으로 생각한다”며 “회장단은 금번 사태 수습을 위해 조속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 일치를 보았다”고 밝혔다. ‘해임’이나 ‘사퇴’와 같은 분명한 표현 없이 ‘조속한 조치’라는 모호한 표현으로 마무리 한 것이다. 경총의 한 직원은 “우리도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다”며 “의견 조율이 이뤄지지 않은 것인지, 절차상 회장단에서 결정하기 어려웠는지 등을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동응 경총 전무는 “송 부회장에게 다시 한번 자진사퇴를 요구하는 것에 방점이 찍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총회를 열어 해임 절차에 들어가는 것도 포함된 것이냐’는 질문에 “그 방법도 담겨있다”고 말했다.
송 부회장은 여전히 “자진사퇴는 없다”는 입장이다. 본인이 경총의 명예를 실추시킬 정도로 잘못한 것이 없는만큼 현재 사태를 수습해 경총 부회장직을 수행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총회를 거쳐 해임 절차를 밟을 경우 법적 대응도 고려하고 있다. 경총 정관에는 상임부회장의 ‘임명’과 관련된 내용은 있지만 ‘해임’에 대한 명확한 절차나 규정이 없는 상황이다.
앞서 경총은 지난달 송 부회장이 최저임금 산입범위 논의 과정에서 혼선을 빚어 경총의 명예를 실추시켰다는 이유로 지난 11일과 12일 두 차례 송 부회장의 자진사퇴를 요구하는 입장을 냈다. 그러나 송 부회장이 자진사퇴를 거부하자, 경총은 이날 11명의 회장단이 참여하는 회장단 회의를 열었다. 애초 ‘회장단 회의에서 송 부회장에 대한 해임 결정을 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으나 결론은 이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