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항만에 수출입용 컨테이너가 적재된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2월 들어 10일까지 하루 평균 수출액이 지난해보다 3.2% 감소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 확산의 여파로 수출 회복이 더뎌지는 조짐이다.
11일 관세청에 따르면, 2월1~10일 수출액은 107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9.4% 증가했다. 지난해 2월 초순에 설 연휴가 있어 조업일수가 올해(7일)보다 3일 적은 4일에 그쳤던 탓이다. 조업일수 변동의 영향을 제외한 일평균 수출액은 15억3천만달러로 지난해(15억8천만달러)보다 3.2% 줄었다. 지난달 일평균 수출액은 20억2000만달러로 지난해 1월보다 4.8% 증가하며 14개월 만의 반등에 성공한 바 있다. 1월에 이른 설 연휴가 있어 전체 수출액의 플러스 전환에는 실패했지만, 2월에는 큰 폭의 수출 반등이 있을 것으로 기대했던 이유다. 그러나 2월 들어 수출 회복세가 반전된 것으로, 신종 코로나 확산에 따른 세계 경제의 위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올해 2월은 29일까지 있어 평년보다 조업일수가 하루 늘고, 설 연휴 기저효과도 있어 전체 수출액이 플러스로 전환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수출 상대국별로 따져보면, 중국(36%), 미국(68.1%), 베트남(59.8%), 유럽연합(170.4%), 일본(28.9%), 홍콩(130.1%), 중동(63%) 등으로의 수출이 모두 늘었다. 조업일수가 전년보다 75% 많았던 점을 고려하면, 신종 코로나의 발원지인 중국 등으로의 수출이 상대적으로 크게 줄었다는 뜻이다. 품목별로는 승용차(114.5%), 반도체(37.8%), 무선통신기기(34.8%), 석유제품(26.2%) 등의 수출은 늘었지만, 액정디바이스(-39.5%) 등은 부진했다.
같은 기간 전체 수입액은 120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기계류(48.7%), 정보통신기기(22.3%), 승용차(108.4%) 등이 늘었고, 원유(-13.3%), 가스(-1.8%), 석탄(-23.9%) 등 에너지 원자재 수입은 축소됐다. 세계 경기 둔화 가능성에 따른 국제 유가 등 원자재 가격 하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 확산으로 중국이 춘절 휴무를 연장하는 등 조업일수 증가의 효과를 상쇄하는 악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신종 코로나의 여파를 예의주시해야 하지만, 2월 전체 수출 실적은 기저 효과 등 영향으로 회복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