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한국 기업이 겪는 어려움으로 국내기업은 원자재 수급, 중국 진출 기업은 방역용품 조달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런 내용을 포함한 코로나19 관련한 기업 애로사항을 지난 21일까지 433건 접수했으며 이 가운데 199건을 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국내기업들이 접수한 196건의 애로사항 중 가장 많은 97건이 원자재 조달 부족에 따른 생산 차질이었다. 중국기업의 계약불이행(38건), 통관·물류 차질(37건), 대금 회수 지연(13건) 등이 뒤를 이었다. 산업부는 현지 조업상황, 물류현황 등의 정보를 관련 기업들과 실시간 공유하고 항공편 증편, 관세 완화, 신규 거래선 발굴, 분쟁 중재를 지원하는 등 113건을 해결했다고 밝혔다.
중국 현지에서는 마스크와 손 소독제 등 방역용품 부족 애로가 80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밖에 인력 부족으로 인한 공장 가동 중단 등의 어려움(62건), 물류·통관 관련(36건), 금융 및 기타 59건이 접수됐다. 중국 정부는 공장 조업 재개를 위해 마스크, 손 세정제 구비, 방역 조치 등을 요구하고 있어, 국내 본사를 통한 자체 조달이 어려울 경우 코트라(KOTRA)가 무역관별 네트워크를 활용해 국내외에서 방역용품을 확보해 조달을 지원하고 있다. 산업부는 중국 진출 기업의 애로사항이 237건 접수됐으며 이 가운데 86건이 해결됐고 151건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또 매출감소, 대금 회수 지연 등 금융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 7일 정부가 금융위 등을 중심으로 ‘범부처 코로나바이러스 금융대책’을 발표한 뒤 18일까지 신청된 5752건에 대해 약 3626억원의 자금을 공급했다고 밝혔다.
김은형 기자
dmsgu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