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약국에 공급된 공적 마스크를 구매하기 위해 시민들이 줄을 서 있다. 연합뉴스
전국 각지에서 벌어지고 있는 마스크 대란에 대처하기 위해 정부가 유통 수량과 판매 가격을 통제하는 ‘공적 물량’을 하루 생산량의 70% 이상으로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이런 방안을 포함해 이르면 5일 ‘마스크 수급 추가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3일 정부 고위 관계자는 “마스크 대란을 풀 수 있는 핵심은 마스크 생산량 증대와 공적 물량 확보”라며 “하루 생산량의 70% 이상을 공적 물량으로 확보해 고르게 분배하는 대책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6일 발표한 ‘마스크 수급 대책’에 따라 마스크 생산량의 50% 수준인 하루 570만장 남짓을 공적 물량으로 확보해 배분해왔다. 그러나 코로나19 발병이 집중된 대구·경북 지역과 의료진 등에 우선 배정된 150만장을 제외한 420만장 남짓만 약국과 읍·면 지역 우체국, 비수도권 하나로마트 등을 통해 공급했다. 정부는 이번 조처로 추가 확보되는 공적 물량 200만장 이상을 이들 유통망을 통해 공급할 계획이다.
정부는 마스크 판매 시스템 개선을 위해 현재 약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의약품안전사용정보시스템(DUR)을 활용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1인당 마스크 구입량을 기록에 남겨 중복 구입에 따른 마스크 물량 쏠림을 차단하는 방안이다. 다만 정부는 유통 채널 다각화를 위해 편의점 등으로 마스크 판매망을 넓히는 방안은 검토에서 제외했다. 충분한 생산량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유통망을 확대할 경우 물량 공급이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정부는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한 마스크 수급 추가 대책을 이르면 5일 발표한다. 앞서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 2일 “마스크 공적 유통이 잘 안 되면 이번 주말께 더 강력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마스크를 둘러싼 혼란이 가시지 않아 발표 시점을 앞당겼다.
정부는 이와 함께 마스크 생산량을 늘리는 시설 투자에도 나섰다. 정부는 이날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목적예비비 지출안을 통해 마스크용 필터 제조업체와 마스크 제조업체 40곳에 7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먼저 청소기와 공기청정기용 필터 등을 생산하는 업체에 멜트블론(MB) 부직포 제조 설비를 추가해 마스크 원자재를 하루 3t 증산할 계획이다. 이는 방역용 마스크 300만장 분량이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원활하지 못한 마스크 공급에 관해 “국민께 매우 송구스럽다”고 사과했다. 또 그는 “최대한 생산 물량을 늘릴 수 있도록 하고, 최대한 합리적이고 공평한 보급 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확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겸한 국무회의에서 “마스크를 신속하고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불편을 끼친 점에 대해 국민께 매우 송구스럽다”며 “식품의약품안전처를 중심으로 관계 부처들이 긴밀하게 협력해 이른 시일 안에 해결해주길 바란다”고 재촉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마스크 공급과 관련해) 정부가 감수성 있게 느꼈는지 의심스럽다. 과연 절실한 문제로 느꼈는가. 해법 찾는 데 최선을 다하라”고 말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노현웅 성연철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