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청와대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논의를 위한 1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정부는 그야말로 비상정부체제로 전환하였습니다. 방역 중대본(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처럼 경제 중대본 역할을 할 비상경제회의를 오늘부터 본격적으로 가동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청와대에서 직접 비상경제회의를 주재하면서 ‘경제 중대본’이라고 선언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코로나19 재난 상황에 맞서 방역과 피해 복구를 총괄해온 것처럼, 재난적 경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최고 의사결정기구로 비상경제회의를 정례화하고 직접 챙기겠다는 것이다.
비상경제회의는 문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고, 경제부총리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장관 등 경제부처 장관이 참석한다. 청와대에서는 대통령 비서실장과 정책실장, 경제수석 등이 참석 대상이다. 또 논의 안건에 따라 필요할 경우 한국은행 총재와 양대노총 위원장, 경제단체장, 기업인 등 민간에서도 참석할 수 있다. 비상경제회의는 매주 한차례 열릴 예정인데, 3개월간 운영하다 코로나19 여파가 장기화될 경우 연장한다는 방침이다.
실제 이날 비상경제회의에서 확정된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은행을 비롯해 전체 금융권이 힘을 모았다고 정부는 밝혔다. 이날 회의에도 이주열 한은 총재가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중앙은행으로서 국가의 비상경제 상황에 책임있게 대응하며 모든 금융권을 이끌어주신 적극적인 노력에 감사드린다”며 “(정부) 당국뿐만 아니라 중앙은행과 정책금융기관, 시중은행과 제2금융권까지 협력하고 동참하는 구조는 처음 있는 일”이라고 평가했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