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수정 제시했다. 지난 8월 내놓은 전망치(-0.8%)보다 0.2%포인트 낮춘 것이다.
오이시디는 16일(한국시각)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중간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오이시디는 매년 여름과 겨울에 경제전망을, 봄과 가을에는 중간 경제전망을 발표한다. 오이시디는 이번 중간 경제전망에서 한국 성장률을 -1.0%로 하향 조정했다. 앞서 오이시디는 지난 6월 -1.2%의 전망치를 제시했다가 8월 ‘한국경제보고서’에서 -0.8%로 상향 조정했는데, 한 달 만에 다시 0.2%포인트 낮췄다. 8월 중순 이후 국내에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한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는 3.1%로 유지했다.
중국과 미국, 세계 성장률 전망치는 높였다. 오이시디는 지난 6월과 7월 올해 미국 성장률이 -7.3%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으나 이번에는 -3.8%로 3.5%포인트 올렸다. 경제활동 재개 이후 민간소비가 회복세를 나타낸 점이 영향을 미쳤다. 중국은 6월 전망치 -2.6%에서 1.8%로 4.4%포인트 올렸다.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 전망이다. 독일 전망치도 지난 6월 -6.6%에서 -5.4%로 1.2%포인트, 일본은 -6.0%에서 -5.8%로 0.2%포인트 각각 높였다. 세계 경제 성장률도 -6.0%에서 -4.5%로 1.5%포인트 높였다.
한국의 올해 성장률은 오이시디 회원국 가운데는 가장 나은 수준이며, 주요 20개국에서는 중국 다음이다. 또 내년 성장률은 3.1%로 기존과 같다. 2년 간 성장률을 합산하면 2.1%로 오이시디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다.
오이시디는 “지난 6월 예상보다 상반기 미국과 중국 상황이 나아졌고, 각 나라에서 막대한 규모한 재정정책을 펼쳐 부정적인 영향이 덜하며”면서도 “최근 경제 회복 속도는 더디고, 일부 국가에서는 다시 재봉쇄 조처를 취해 성장이 더디다”고 평가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확장적 재정 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강조했다. 로렌스 분 오이시디 수석 경제학자는 “각국 정부가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때처럼 너무 빨리 재정 정책을 긴축으로 전환하는 실수를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계속된 정부의 지원 없으면 파산과 실업이 더 빨라질 수 있고, 다가올 수년 동안 그 대가를 치뤄야만 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책 입안자들은 진정한 지속가능한 회복은 물론 중소기업에게 필요한 디지털 업그레이드와 녹색 인프라를 위한 투자를 위한 정책을 실행할 수 있는 평생의 기회를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