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한 대학의 취업정보센터가 한산한 모습이다. 연합뉴스
1년 넘게 이어지는 코로나19 감염 사태로 청년층 취업난이 악화하고 있다. 당장의 어려움은 물론이고 경력 상실이 길어지면 장기적으로 이들이 저임금 계층으로 굳어져 ‘잃어버린 세대’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4일 통계청의 ‘2020년 연간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해 청년층(15~29살) 확장실업률(고용보조지표3)은 25.1%로, 전년 대비 2.2%포인트 올랐다. 통계를 처음 작성한 2015년 21.9%에서 2019년 22.9%까지 4년간 1%포인트 오르다가,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로 급증한 것이다. 확장실업률은 조사 당시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지만 취업 의사가 있는 잠재 구직자나,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재취업을 희망하는 사람 등을 포괄한 개념이다. 구직활동을 하는 사람만 집계하는 공식 실업률에 비해 실제 느끼는 실업 상황을 잘 드러낸다고 해 ‘체감실업률’로 불린다.
구직 자체를 단념한 ‘취업포기자’ 청년들도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학업이나 육아 등 특정한 이유 없이 ‘그냥 쉰’ 인구를 보면, 20대(41만5천명)가 전년 대비 25.2% 늘어, 전 연령대에서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지난해 8월 ‘구직단념자 증가 특징’ 보고서를 통해, 청년층(15~29살) 구직단념자(25만8천명)가 전체 구직단념자(68만2천명)의 3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청년 구직단념자 가운데 ‘재학 중’ 청년이 전년 동월 대비 108% 급증했다는 분석 결과를 냈다. 보고서는 “여름방학에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를 하는 게 통상적임에도 재학 중 청년의 구직 단념이 늘어난 것은 노동수요 부족에서 기인한 문제일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경제위기 시 청년들의 취업이 늦어지면 이에 따른 임금손실·경력상실을 겪고 이후에도 임금과 취업 기회가 줄어드는 ‘이력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일본에서는 자산 거품이 꺼지고 경기 침체가 시작된 1990년대의 청년층(1970~1980년대 초반 출생)이 ‘취직 빙하기’를 겪었다. 이들은 높은 실업률 탓에 경력을 충분히 쌓지 못했고 이후에도 저임금·고용불안정에 시달려 ‘잃어버린 세대’라고 불린다.
한국개발연구원(KDI) 한요셉 연구위원은 지난해 ‘청년 고용의 현황 및 정책제언’ 보고서를 통해 “첫 입직이 1년 늦을 경우 같은 연령의 근로자에 비해 향후 10년간 임금이 연평균 4~8% 낮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한 연구위원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청년층의 저임금·고용불안이 길어지면 불평등이 굳어지고, 이들이 향후 가족 부양 등에서도 어려움을 겪어 복지 비용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며 “청년층이 현재 코로나19 이후 수요가 확대되는 유망 업종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