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코로나19로 경영난을 겪는 기업들의 자산 매각을 돕는 `기업자산매각지원 프로그램’에 1조1천억원을 투입했다고 14일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6월부터 시장에서 잘 팔리지 않는 기업 자산을 대신 매입해 코로나19로 위기를 겪는 기업들이 자금을 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한국자산관리공사가 기업의 자산을 직접 매입한 뒤 적절한 매수자가 나타나면 매각하거나(직접 매입 후 제3자 매각), 매입한 기업 자산을 임대료를 받고 다시 기업에 빌려준 뒤 기업 경영이 개선되면 자산을 우선적으로 매수하도록 권리를 부여하는 방식(매입 후 재임대), 기업 자산을 매수하는 펀드에 투자금을 공급하는 방식(유한책임사원) 등으로 기업의 유동성 확보를 지원한다. 코로나19로 경영난을 겪는 항공사의 항공기와 해운사 선박을 대신 매입하는 항공기금융과 선박금융도 이에 포함된다.
정부는 우선 지난해 17개 기업(대기업 5개, 중견기업 2개, 중소기업 10개)의 부동산 인수에 6581억원을 투입했다. 예를 들어 코로나19로 경영난을 겪는 공연장 운영 기업 ㄱ사의 공연장을 자산관리공사가 매입한 뒤 ㄱ사에 재임대하는 방식으로 공연장 영업을 계속할 수 있게 하고, 앞으로 재무상황이 나아지면 우선매수권을 행사해 공연장을 우선적으로 살 수 있도록 했다. 또 해운사의 자금 지원에도 4171억원을 투입했다. 국내 해운사가 보유한 중고선박을 인수한 뒤 용선료를 받고 해운사에 선박을 이용한 영업을 계속하게 하거나 신조선박을 만들 때 자금 조달이 어려운 사정을 감안해 자산관리공사가 건조선가의 70% 한도 내에서 투자하는 식이다. 예를 들어 철광석 등 건화물에 주력하는 운송 기업 ㄴ사가 탈석탄화에 대비해 신조선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하자 자산관리공사는 선박펀드에 약 1344억원 규모로 출자 및 투자를 해 관련 자금을 지원했다.
정부는 올해도 코로나19로 일시적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이런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기업 수요 조사와 기업별 면담 등을 진행해 신규 수요를 발굴할 예정이다. 또 중소기업과 중견기업 수요가 큰 매각 후 재임대 방식은 자산 인수를 위한 심사기간을 단축하는 등 제도를 손볼 계획이다. 자산운용사 등 민간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한 투자설명회도 반기에 한 회 개최하기로 하고 오는 5월 첫 투자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신다은 기자
down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