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중구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위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69명 늘어 누적 9만6천849명이라고 밝혔다. 전날(363명)보다 106명 늘었다. 지난해 11월14일(205명) 200명대로 올라서면서 본격화한 ‘3차 대유행’은 5개월째 지속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감염이 1년 넘게 지속하는 가운데 국민 3분의 2는 경제에 타격이 있어도 감염 저지를 더 강력히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통계청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한국사회과학자료원이 공동개최한 ‘제2회 한국의 사회동향 포럼’에서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코로나19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유 교수가 지난 1월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당장 경제 타격이 있더라도 지금은 감염확산 저지를 더 강력히 해야 한다’는 문항에 응답자의 66.3%가 동의했다. 동의하지 않는 비율은 7.3%에 그쳤다.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지금은 경제회복을 더 도모해야 한다’라는 문항에는 29.2%가 동의했고 26.8%가 동의하지 않았다.
거리두기 수용도 조사에서 ‘방역정책 효과를 뒷받침할 증거가 없이 감염 현황에 따라 거리두기 단계를 상향하면 경제위축 등에 의해 결과적으로 득보다 실이 더 클 것이다’는 문항에 동의하는 응답은 절반 수준인 49.7%에 이르렀고, 동의하지 않는 비중은 23.2%였다.
‘방역성과가 없다면 경제 활성화는 불가능해지므로 방역 우선 정책을 펴는 게 타당하다’는 문항에는 84.3%가 동의했고, 5.3%만 동의하지 않았다. 국민은 방역성과가 없다면 경제 활성화가 불가능하다고 여기는 가운데, 현재 정부의 방역정책이 보다 더 과학적으로 적용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조사에서 ‘방역대책을 강화해야 할 때라면 인권보호는 뒷순위로 미뤄야 한다’는 문항에 동의하는 응답 비중은 62.7%였다. 지난 1월 78.7%보다는 다소 낮아졌다. 코로나19 이전 일상을 100, 완전한 정지를 0으로 놓고, 코로나19로 일상이 얼마나 위축됐는지 물으니 지난달 응답자의 평균 점수는 48.8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월 1차 유행 당시인 48.3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