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로 수출입 타격을 입은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을 지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최기영 장관 주재로 ‘코로나19 ICT 민관합동대응반’ 회의를 열고 코로나19 대응 정보통신기술(ICT)산업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과기부는 지난해 기준 한국 아이시티 기업들의 중국 수출의존도가 34.8%, 수입의존도가 42%에 이른다며 코로나19 영향으로 수출입이 모두 감소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중국 현지 공장 조업 중단으로 한국 수출품 생산이 지연되거나 중국과의 거래가 중단된 탓이다. 정부가 집계한 이달 1일부터 12일까지 대중 아이시티 일평균 수출액은 지난달 대비 3000만달러 줄었고 수입액은 6000만달러 줄었다.
실제로 과기부가 조사한 사례를 보면 ㄱ 통신장비 제조사는 중국 협력사의 생산 감소로 국내 통신장비 생산에 차질이 생겼고 ㄴ바이오메디컬 기업은 중국 지방정부와 진행하던 투자유치 논의가 무한정 연기됐다. ㄷ 소프트웨어 업체는 중국 내 8개 법인이 휴일을 연장하거나 재택근무로 전환해 기업 경영에 차질이 생겼다.
과기부는 아이시티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아이시티 기업 수출입선 다변화·글로벌 마케팅 지원 △아이시티 분야 대-중소기업 간 거래 촉진 △기술료 유예·감면 및 기술개발자금 융자 검토기간 단축 등을 통해 국내 아이시티 산업을 활성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경영안정자금 공급 제도와 수출 바우처 제도도 아이시티 기업들에 원활히 지급되도록 도울 예정이다. 장기적으로는 디엔에이(데이터·네트워크·에이아이) 중심으로 수출 산업구조를 재편해 중국 무역의존도를 낮추고 아이시티 수출지원협의체를 통해 수출이슈에 대응할 계획이라고도 밝혔다.
신다은 기자 down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