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코로나19 환자 증가세를 꺾기 위해 수도권에만 적용했던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를 지난 1월 4일부터 전국으로 확대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시 한 특급호텔 라운지 모습. 연합뉴스
서울시가 정부 방역정책에 따라 지난해 12월23일 ‘5인 이상 집합금지’ 조처를 한 이후 인구 이동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확진자 수를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해 연말 3차 대유행 때는 정부 방역정책 강화 전에 인구 이동량이 줄어드는 등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돋보였다.
7일 케이티(KT)가 공개한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통신 데이터분석 결과’를 보면, 5인 이상 집합금지 조처가 코로나19 확산세를 꺾는데 효과를 발휘했다. 지난해 12월19일 이후 증가하던 서울시 인구 이동량이 같은달 23일 5인 이상 집합금지 발효 뒤부터 성탄절 연휴 시작에도 급격한 감소세로 꺾였다. 이후 확진자 수도 줄어들었다.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상향에 앞서 시민들이 먼저 적극적인 행동을 보인 현상도 나타났다. 지난해 8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서울시 인구 이동량 추이를 보면, 코로나19 확진자 증가로 정부의 방역 단계가 강화된 11월24일 이전부터 이미 서울시 인구 이동량이 줄기 시작했다. 케이티는 “시민들이 확진자 증가 추이를 살피면서 자발적으로 이동을 줄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코로나19 3차 대유행 시기(11월1일~12월31일)를 따로 분석한 결과에선 1차(3월)·2차(8월) 유행 때와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1·2차 유행 때는 확진자 증가에 따른 이동 인구 감소가 즉각적으로 나타났으나 3차 때는 이동 인구 감소 현상이 다소 더뎠다. 시민들의 반응 속도가 느려진 셈이다. “장기간 진행된 방역 조치에 따라 시민들의 피로도가 커지고, 코로나19에 대한 학습효과가 생긴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케이티 쪽은 풀이됐다.
이번 분석에선 중구와 종로구 등 다른 구로부터 인구 유입이 많은 지역구의 확진자 비율(구의 거주자 수 대비 확진자 수)이 상대적으로 높은 사실도 드러났다.
김형욱 케이티 미래가치추진실장은 “코로나19 국내 발생 1년째를 맞아 시사점을 찾기 위해 통신 데이터를 활용해 서울시 지역별 유동인구 변동 추이, 뉴스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같은 ‘소셜 버즈(buzz‧특정 주제에 대한 언급)량’과 확진자 수 증감 수치 등을 비교 분석했다”며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시민들의 피로와 불만, 그리고 경제 활성화라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하는 세밀한 접근이 필요한 시점인 만큼, 케이티는 국민 안전과 방역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익한 빅데이터를 계속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김재섭 선임기자
j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