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대기업 중 코로나19 사태 이후 재택근무를 실시한 곳이 70%가량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여론조사 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2021년 주요 대기업 단체교섭 현황 및 노동현안 조사’를 벌여 29일 내놓은 결과를 보면, 코로나 이후 재택근무를 실시한 기업은 68.5%, 미실시 기업은 31.5%로 나타났다. 매출액 상위 600대 비금융기업의 인사·노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7~8월에 걸쳐 실시한 이번 조사에는 130개사가 응했다고 한경연은 전했다.
재택근무에 따른 업무 효율성을 묻는 질문에는 ‘감소’했다는 응답이 46.1%로 ‘증가’했다는 응답 10.1%에 견줘 4.6배로 많았다. 재택근무의 업무 효율성이 ‘동일’하다는 응답은 43.8%로 조사됐다.
임금 협상 최종 타결에 이른 51개사의 평균 임금인상률(기본급 대비 인상률, 호봉승급분 반영)은 3.2%로 작년 인상률 1.9%보다 높았다. 노조 쪽에서 요구한 임금인상률 평균은 4.2%(98개사)였다.
올해 경영실적 전망을 묻는 질문에 코로나 사태 이전보다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39.2%로 비슷할 것(33.1%), 더 악화될 것(27.7%)이라는 응답보다 약간 많았다. 한경연은 “올해 상반기에는 백신 접종으로 코로나 극복 가능성, 억눌렸던 ‘보복 소비’ 등으로 긍정적 경기 전망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코로나 재유행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경기 회복을 장담할 수 없는 분위기”라고 밝혔다.
노동 부문 현안 중 기업 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쟁점으로는 ‘최저임금 인상’(48.5%)과 ‘중대재해 시 대표이사 등 경영자 처벌’(40.0%)을 꼽았다.
기업들은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를 위한 개선 과제로 공정한 임금 체계 개편(51.5%)을 가장 많이 꼽았다. 경영상 해고요건 완화 40.8%, 기간제 근로자 사용 기간 확대 25.4%, 파견 허용업종 확대 22.3%, 정년연장에 따른 임금피크제 명문화 19.2%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임단협 교섭 과정에 대해선 ‘작년보다 어렵다’는 응답이 25.4%로 나타났다. 작년보다 ‘원만하다’는 답은 17.7%, 작년과 ‘유사하다’는 응답은 56.9%였다. 한경연은 “올해 하반기에 상급 노동단체들이 대규모 총파업, 총력 투쟁 등을 예고한 만큼, 산업현장의 혼란과 갈등은 예상보다 더 커질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