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회의실에서 ‘포스트 코로나 산업정책 간담회 및 산업·기업 대응반 1차 회의’가 열리고 있다. 산업부 제공
정부가 온라인 유통·교육과 스마트 헬스케어 등 비대면 산업을 기회산업으로 키우고, 이른바 K-방역, K-바이오를 글로벌 상품화하는 등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경제질서 변화를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포스트 코로나 산업종합전략’을 하반기에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는 6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성윤모 산업부 장관과 기재·고용·복지·환경 등 12개 부처 및 민간 시장전문가 등 총 23명이 모인 가운데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경제중대본) 산하 ‘산업·기업 위기대응반’(반장 산업부 장관) 1차 회의를 열고 코로나발 산업질서 변화에 대한 종합전략인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수립체제 가동에 들어갔다.
이 자리에서 성 장관은 “올 하반기에 종합적인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을 마련하겠다”며 포스트 코로나 5대 변화 및 8대 대응 과제를 제시했다. △감염병 빈발 시대로의 변화에 맞춘 K-방역 및 K-바이오 글로벌 상품화와 산업현장의 작업방식 변화 △글로벌 가치사슬(GVC)이 로컬 조달로 변화하는 상황에 맞춘 유턴기업 활성화 및 밸류체인 핵심품목·기업의 유치와 관리 △비대면 시대로의 변화에 맞춘 온라인 유통, 에듀테크, 스마트 헬스케어 투자 확대 △석유수요 감소 및 저유가 시대로의 변화에 맞춘 수소경제 확산 및 화석연료 의존 축소 등 친환경 산업구조로 전환 △기업경영에서 저비용 효율중심주의 퇴조와 고비용 시대로의 변화에 맞춘 주력산업의 사업재편과 기업활력 촉진 △자유무역 퇴조와 보호무역으로의 변화에 맞춘 기업 필수인력 예외 입국의 표준모델 선도 등이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으로 신흥국의 저임금 매력이 줄어들면서 글로벌 가치공급사슬이 로컬 중심으로 재편될 변화에 대응해 기업 유턴을 활성화하고, 감염병 발생시에도 생산차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생산라인 재배치 및 ‘로봇+인간’ 작업방식 설계 등을 확산시켜 산업현장 복원력을 높여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 장관은 “그동안 발표된 산업·기업 지원책이 현장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추가 보완·개선할 점이 무엇인지 점검할 것”이라며 “코로나 이전과 이후가 극명하게 다를 것이라는 전망 아래 코로나19 이후 우리 경제가 재도약할 수 있도록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하는 정책 패키지를 하반기에 마련해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