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이 17일 ’산업은행 현안 온라인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산업은행이 두산중공업 재무구조개선계획(자구안) 약정 이행에 대해 “두산그룹 자회사 매각 기한은 정하고 있지 않고 매각을 강제할 생각도 없다”고 밝혔다. 한국조선해양(현대중공업그룹)의 대우조선해양 인수합병에 대해서는 “6개국의 기업결합 심사 통과·승인을 위해 현대중공업 쪽이 인수조건 재조정을 요청해오면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기간산업·기업안정기금 40조원 지원 대상업종은 “기금 설립취지를 감안할 때 시간이 문제일뿐 항공과 해운 외에도 중요한 기간산업은 모두 담기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말했다.
최대현 산업은행 부행장은 17일 기자들과 가진 ‘주요 이슈 온라인 브리핑’에서 “두산그룹 자회사 매각은 법률적으로 강제할 수 없다. 실익도 없다. 매각 기한을 정하면 매각에 쫓기게 되고, 생각 이하의 가격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자율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두산이 제출한 자구안 내용을 공개하지 않고 있는 데 대해서는 “두산의 규모나 가진 자산 형태를 볼때 (매각 대상 자산마다)시장 역량이 많은 것이 대부분이다. 모두 일순간에 공개하면 영업력 훼손이나 기업가치가 떨어지는 등 마이너스 효과가 많다고 보고 있다. 두산은 자체적인 매각 대상과 기간까지 제출했고, 실사기관을 통해 이에 대한 입증을 진행하고 그 후에 MOU(양해각서)를 체결한 것이다. 매각 대상과 관련해서는 신규투입 자금이 3조원 정도 된다는 점에서 추론해보면 회사 포트폴리오 중에 어느 선일지 생각이 나올 것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시장이나 회사 쪽에서 언급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두산이 제시한 자산 매각이 잘 진행돼 채권단이 빌려준 긴급자금 상환과 재무구조 개선이 계획대로 진행되면 조기에 두산중공업 정상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과 이동걸 산은 회장이 만난 자리에서 두산 쪽이 ‘신속하게 자구계획을 이행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덧붙였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 합병을 둘러싼 한국·유럽연합(EU)·일본·중국 등 6개국 경쟁당국의 기업결합 심사 상황과 관련해서는 “현대중공업으로부터 기존 인수조건 재조정을 구체적으로 요청받은 바는 없다”며 “SO(중간심사보고서)가 나오고 나면, 10년전 사례를 보면 80% 정도가 조건부든 클린이든 승인을 받더라. 현대중공업과 긴밀하게 협의하고, 조정이 필요하면 적극적으로 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유럽연합 경쟁당국이 SO를 현대중공업에 보내왔는데, 최종 승인으로 결론이 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또 일부 해외 경쟁당국이 심사 과정에서 ‘조건부 승인’을 요청할 경우 이 조건을 맞추기 위해 현대중공업과 인수조건 재협의를 할 수도 있다고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최 부행장은 “각국의 기업결합 승인이 코로나19로 다소 지연되고 있지만 기본적인 종결시점은 6월말이고 올해말까지 마무리될 것으로 본다. 승인을 받지 못해 거래가 무산되는 상황이 오면 대우조선이 독자 생존할 수 있도록 회사 자체 경쟁력을 갖추는 건 당연하다. 산은은 심사 실패, 즉 합병 무산에 대한 가정은 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기간산업·기업안정기금 40조원 운영·집행과 지원 대상업종에 대해 최 부행장은 “항공과 해운 외에 지원업종 추가는 금융위 및 기재부와 협의해 추진할 것이다. 기금 설립 취지를 감안할때 충분히 협의 가능하다. 시간이 문제일뿐 중요한 기간 산업은 모두 담기지 않을까 예상한다. 자동차부품업도 시급성과 중요도를 감안해 적극 검토하게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 “빠르면 7월초부터 자금지원을 해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기금 신청은 내년 4월 말까지 할 수 있다. 산은이 파악하는 지원요청 대상 업체들이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회사들이라서 공식 신청 전에도 사전 논의·검토가 이뤄질 것이다. 심사 기한이 지연되면서 실기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