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 앞에 삼성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고 있다. 연합뉴스
삼성의 지배권 승계 의혹과 관련해 지난 1일 검찰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11명을 불구속 기소한 것과 관련해 기소된 임직원들과 사건에 책임이 있는 경영진 모두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출처: 경제개혁연대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경제개혁연대는 2일 논평을 내어 “기소된 11명 가운데 8명은 현재 삼성전자, (합병)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주요 계열사의 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며 “이재용 부회장과 나머지 7명도 회사경영에 더 이상 큰 부담을 주지 않도록 스스로 그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촉구했다.
기소된 11명 가운데 최지성 전 삼성 미래전략실 실장과 장충기 전 삼성 미래전략실 차장, 김종중 전 삼성 미래전략실 전략팀장 등 3명은 현직에서 물러난 상태다. 그러나 이재용 부회장과 김용관 삼성전자 의료기기 사업부장, 이왕익 삼성전자 재경 담당 임원 등은 여전히 삼성전자에 재직 중이다. 지난 5월 삼성전자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2019년 기업지배구조 보고서’에는 “재판이 확정되기 전이라도 기업가치 훼손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필요할 경우에는 상당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돼 있다.
이 외에도 삼성물산에서는 최치훈 이사회 의장, 김신 상임고문, 이영호 건설부문 사장이 현직에 있으며,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김동중 삼성바이오로직스 사내이사도 여전히 재직 중이다.
경제개혁연대는 “불법행위에 연루된 경영진이 해당 회사의 경영에 계속 참여한다면 회사의 신뢰도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장기적으로 주주가치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고 말했다.
경제개혁연대는 또한 검찰이 기소하지는 않았지만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책임 있는 이사들 또한 회사와 주주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 의미에서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