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네이멍구 자치구 만저우리 지역에서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봉쇄된 주거단지 앞에서 방역요원들이 경계를 서고 있다. 만저우리/AFP 연합뉴스
코로나19 발생 초기 강력한 봉쇄정책으로 코로나19와 관련 없는 사망자를 대폭 줄일 수 있었다는 중국 연구팀의 주장이 나왔다. 베이징 겨울올림픽을 두 달여 앞두고 오미크론 변종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자국 방역 체계의 ‘우수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1일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의 보도를 종합하면, 가오푸 주임 등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 연구진과 베이징대·홍콩대·홍콩과기대 학자들이 참여한 연구팀은 지난달 29일 <네이처>에 공개한 보고서에서 “코로나19 발생 이후 첫 7개월 동안 강력한 봉쇄정책으로, 코로나19와 무관한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를 약 34만7천명 줄일 수 있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중국 인구 3억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코로나19 발생 초기 7개월 간의 사망신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가 최초 발병한 후베이성 우한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사망률이 전년 대비 4.6% 감소했다. 연구팀은 “심혈관계 질환과 교통사고, 급·만성 호흡기 질환과 감염성 질환 등으로 인한 사망자가 초기 봉쇄 기간 눈에 띄게 감소했다”며 “이같은 현상은 봉쇄 해제 이후에도 지속돼, 우한 봉쇄가 해제된 지난해 4월8일부터 7월31일까지 중국 전역에서 사망자가 12.5% 감소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그간 전면적인 봉쇄 조처는 이동의 자유를 제한해 의료 서비스 접근권을 떨어뜨리고, 경제적 타격으로 인해 대규모 실업 사태로 이어지는 등 전반적인 보건 상황을 악화시킬 것이란 예측이 많았다”며 “분석 결과 적어도 중국에선 중·단기적으로 보건의료 분야에서 봉쇄에 따른 긍정적 영향이 많았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연구팀은 “봉쇄로 인한 산업활동 저하에 따라 공기가 맑아지고,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 두기 등을 통한 개인 위생 강화, 교통량 저하에 따른 교통사고 건수 감소 등으로 코로나19와 무관한 사망률이 떨어진 것”이라며 “코로나19 방역 정책과 관련해 세계적으로 열띤 논쟁이 가열되고 있지만, 연구 결과 강력한 방역정책(봉쇄)의 유효성이 입증됐다“고 강조했다.
앞서 베이징대 소속 수학자 4명으로 구성된 연구팀도 지난달 27일 <중국질병예방통제센터 주보>에 기고한 논문에서 “중국이 다른 국가처럼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 형태로 방역정책을 바꾸면, 하루 신규 확진자가 최대 63만명을 넘어설 수 있다”며, 강력한 봉쇄에 기반한 ‘제로 코로나’ 정책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