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중국 네이멍구자치구 만저우리에서 방역복을 갖춰 입은 자원활동가가 확성기를 이용해 주민들에게 코로나19 핵산검사 절차를 안내하고 있다. 만저우리/신화 연합뉴스
중국 당국이 방역 수위를 낮추면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폭증하면서 ‘정치 문제화’할 수 있는 탓에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은 불가능하다는 현지 전문가의 지적이 나왔다. 베이징 겨울 올림픽을 앞두고 ‘중국 특색 방역정책’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주장이 잇따르고 있다.
7일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의 보도를 종합하면, 량완녠 칭화대 공공위생-건강학원 상무부원장은 “코로나19 확진자가 가운데 위중증 환자나 사망자가 극소수에 불과하긴 해도, 중국 인구가 약 14억명에 이른다는 점을 감안하면 절대적인 수치는 상당할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또 “(단계적 일상회복 정책을 채택하면) 중증환자나 사망자가 얼마나 나올 지는 충분히 상상이 가능할 것”이라며 “이는 공중보건 측면뿐 아니라 정치·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량 부원장은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제도개혁국장 출신의 감염병 전문가로, 중국 정부의 코로나19 방역정책 관련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중국에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명이라도 나온 주거단지는 아예 봉쇄하고, 주변 거주민에 대해 전수 검사를 실시하는 등 강력한 방역정책을 2년여째 유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산발적인 감염 확산세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집계 결과, 전날 중국에선 모두 94명이 신규 확진판정을 받았다. 이 가운데 해외 역유입 확진자가 34명이며, 네이멍구자치구 후룬베이얼(55명)을 포함해 헤이룽장·윈난·저장성 등지에서 모두 60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량 부원장은 “각국은 각자 선택한 우선 순위에 따른 방역 전략을 세우고 있다. 이동의 자유와 삶의 질을 우선하기도 하고, 집중치료시설과 의료진 등 공중보건 능력에 따르기도 한다”며 “중국에서 코로나19 초기 방역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기꺼이 불편을 감수했던 인민들이 보여준 고도의 이타주의가 가장 중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그는 장기간에 걸친 봉쇄식 관리에 따른 ‘피로감’과 ‘불만’은 인정하면서, “불만을 품는 것은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중국은 (단계적 일상회복에 들어간) 다른 나라들처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변이를 거듭할 것이며, 전파력과 증상이 점차 약화할 것이란 환상을 품어선 안된다”며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매우 복잡하며, 우리 곁에 오래 머물게 될 것이란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베이징대 소속 수학자 4명으로 구성된 연구팀도 지난달 27일 <중국질병예방통제센터 주보>에 발표한 논문에서 “중국이 ‘단계적 일상회복’을 도입하면 하루 신규 확진자가 최대 63만명을 넘어설 것”이라며, 기존의 ‘제로 코로나’ 정책을 지속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