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진원지인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지난 4일 전시장을 경증 확진자 격리 치료를 위한 임시 병동으로 개조하기 위한 마무리 작업이 한창이다. AP 연합뉴스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3만명을 넘어섰다. 사망자도 600명을 넘어서면서, 대규모 인구 이동을 막기 위해 춘절 연휴를 연장했던 각급 지방정부가 앞다퉈 ‘봉쇄령’을 내리는 등 감염증 확산을 막기 위한 비상조치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7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집계 결과, 전날에만 신규 확진자가 3143명 나오면서 누적 확진자는 3만1161명까지 늘었다. 진원지인 우한을 비롯한 후베이성에서만 확진자가 2만명을 넘어섰고, 광둥·저장성 등도 각각 확진자가 970명과 954명으로 1천명대에 다가섰다. 사망자도 전날에만 73명 늘면서 지금까지 모두 636명(후베이성 618명)이 감염증으로 목숨을 잃었다.
오는 9일로 연장된 연휴가 끝나면 전국 각지로 흩어졌던 도시 거주자들이 대거 귀환할 수밖에 없어, 감염증 추가 확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각급 지방정부는 인구 이동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외부인의 신규 유입을 철저히 막는 한편, 자기 지역을 방문한 외부인의 귀환도 가로막는 ‘이중봉쇄’ 방안을 시행하기 시작했다.
관영 <중국망>의 자체 집계 내용을 보면, 지역 전체가 사실상 봉쇄 상태인 후베이성 외에도 14개 성·시 정부가 다양한 ‘폐쇄 관리’ 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이 매체는 “가장 먼저 춘절 연휴를 9일까지 연장했던 상하이 방역당국이 바이러스 잠복기를 감안해 7일부터 ‘2단계 예방·통제’ 조치에 들어간다”며 “(도시가 감염증의 새로운 근거지가 되는 것을 막아야 하는) 지금이 신종 코로나 방역의 가장 결정적 순간”이라고 전했다.
저장성 원저우는 지난 1일부터 원칙적으로 주민들 외출을 금지했다. 가족 중 1명만 이틀에 한번 생필품 조달을 위한 외출만 허용하는 ‘원저우 방식’은 항저우·난징·닝보 등지에서도 도입했다. 랴오닝성은 지난 5일 성내 모든 지역을 봉쇄형으로 관리하고, 외지 방문객은 14일간 자택 격리 조치하는 등의 내용을 뼈대로 한 30개항의 폐쇄관리 조처를 발표했다. 허난성의 인구 700여만명 도시 주마디엔에선 지난 4일부터 전면적인 외출 금지령과 함께 가족 중 1명의 생필품 조달을 위한 외출 주기를 5일로 잡아 “가장 가혹한 봉쇄”란 평가를 받고 있다.
수도 베이징에서도 방역당국이 6일 회의를 열어 신종 코로나 위험지역을 방문한 시민들에게 당분간 베이징으로 돌아오지 말도록 사전에 통보하기로 결정했다. 또 이미 복귀한 시민들에 대해선 자택 격리 등을 통해 엄격히 관리할 방침이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