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발시위 격화 예고… 야권, 시위 동참 촉구
프랑스의 고용법 갈등 사태가 자크 시라크 대통령의 타협안 제시에도 불구하고 해결 기미를 보이기는 커녕 더욱 격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시라크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고용법을 일단 서명, 공포하되 반발을 초래한 최초고용계약(CPE) 조항들을 삭제한 수정 법안을 신속히 채택하겠다고 발표했으나 학생.노동계.야권이 일제히 수용을 거부하고 나섰다.
법안 원천 철회를 주장하는 학생들과 노동계는 타협안 발표 직후 거부 의사를 분명히 한데 이어 1일에도 대통령의 제안을 비판했다.
학생들과 노동계는 4일로 예정된 전국적인 시위와 파업을 예정대로 강행하기로 했다.
학생 조직 대표들이 1일 회합을 가진 가운데 학생조직 UNEF의 브뤼노 쥘리아르 회장은 "젊은이들이 대통령에 모욕당하고 있다고 느끼고 있다"며 성토했다.
노동계도 CPE를 먼저 철회해야 대화에 응하겠다는 기존의 입장을 고수했다. CGT의 베르나르 티보 위원장은 의회가 CPE를 수정하지 말고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11개 좌파 정당도 이날 아침 회동에서 저항을 지속하기로 합의했다.
사회당의 프랑수아 올랑드 제1서기는 시민들에 대해 4일 시위에 동참해달라고 촉구했다. 그는 CPE를 철폐하기 위한 새 법을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의 타협안에 반발하는 시위도 이어졌다. 31일 밤 파리 시내 바스티유 광장에 모여 시라크의 연설을 듣던 시위대 수백명 은 타협안이 발표되자 '시라크의 사퇴'를 외쳤다. 일부 청소년들은 가두 시위를 벌이며 경찰에 병을 던지고 건물 유리창을 파손했다. 1일 아침에도 파리 시내에 2천여명이 모여 유리창을 깨고 차량을 훼손했다. 또 집권 대중운동연합(UMP) 의원 사무실에 계란을 던지고 소르본 대학을 지키는 경찰을 공격했다. 경찰은 107명을 검거했다. 지방의 리옹, 낭트, 스트라스부르, 보르도에서도 시위가 잇따랐다. 이런 가운데 CPE를 도입한 주역으로, 최대의 정치적 위기를 맞은 도미니크 드 빌팽 총리는 이날 UMP 지도부를 만나 대책을 논의했다. UMP의 하원 원내대표인 베르나르 아쿠아예는 "노도 지도부를 신속히 만나 대화에 착수하고, 대통령이 요구한 새 법 제정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시라크 대통령은 TV와 라디오 연설에서 CPE가 포함된 고용법이 고용 창출을 위해 필수적이라며 법 절차대로 서명,공포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면서 그는 문제가 된 조항들을 삭제한 수정 법안을 즉각 채택하겠다며 타협 안을 제시했다. 26세 미만 종업원의 시험 채용 기간을 2년에서 1년으로, 해고시 사유 설명 의무화로 조항들을 바꾸겠다는 것이다. 정당한 절차로 통과된 법을 일단 공포하되 새 법이 채택될 때까지는 반발을 초래한 조항들의 시행을 보류하겠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한편 CSA의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프랑스인의 62%가 시라크 대통령의 TV 연설 내용을 납득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는 등 CPE 관련 여론은 지속적으로 정부에 불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성섭 특파원 leess@yna.co.kr (파리=연합뉴스)
대통령의 타협안에 반발하는 시위도 이어졌다. 31일 밤 파리 시내 바스티유 광장에 모여 시라크의 연설을 듣던 시위대 수백명 은 타협안이 발표되자 '시라크의 사퇴'를 외쳤다. 일부 청소년들은 가두 시위를 벌이며 경찰에 병을 던지고 건물 유리창을 파손했다. 1일 아침에도 파리 시내에 2천여명이 모여 유리창을 깨고 차량을 훼손했다. 또 집권 대중운동연합(UMP) 의원 사무실에 계란을 던지고 소르본 대학을 지키는 경찰을 공격했다. 경찰은 107명을 검거했다. 지방의 리옹, 낭트, 스트라스부르, 보르도에서도 시위가 잇따랐다. 이런 가운데 CPE를 도입한 주역으로, 최대의 정치적 위기를 맞은 도미니크 드 빌팽 총리는 이날 UMP 지도부를 만나 대책을 논의했다. UMP의 하원 원내대표인 베르나르 아쿠아예는 "노도 지도부를 신속히 만나 대화에 착수하고, 대통령이 요구한 새 법 제정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시라크 대통령은 TV와 라디오 연설에서 CPE가 포함된 고용법이 고용 창출을 위해 필수적이라며 법 절차대로 서명,공포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면서 그는 문제가 된 조항들을 삭제한 수정 법안을 즉각 채택하겠다며 타협 안을 제시했다. 26세 미만 종업원의 시험 채용 기간을 2년에서 1년으로, 해고시 사유 설명 의무화로 조항들을 바꾸겠다는 것이다. 정당한 절차로 통과된 법을 일단 공포하되 새 법이 채택될 때까지는 반발을 초래한 조항들의 시행을 보류하겠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한편 CSA의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프랑스인의 62%가 시라크 대통령의 TV 연설 내용을 납득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는 등 CPE 관련 여론은 지속적으로 정부에 불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성섭 특파원 leess@yna.co.kr (파리=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