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파리에서 13일(현지시각) 정부의 오락가락하는 학교 방역 지침에 항의해 파업에 들어간 교사들이 거리 시위를 벌이고 있다. 파리/EPA 연합뉴스
프랑스 초중등 학교 교사들이 오락가락하는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지침으로 학교가 혼란에 빠졌다며 13일(현지시각) 전국에서 대규모 파업을 벌였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보도했다.
11개 노조가 공동으로 진행한 이날의 파업은 학부모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학교를 계속 운영하려는 에마뉘엘 마크롱 정부를 궁지에 몰아넣었다고 통신은 지적했다. 이날 파리에서 진행된 항의 시위에는 좌파 대선 후보인 장뤼크 멜랑숑과 안 이달고 후보도 참가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프랑스 내무부는 이날 7만8천여명의 교원이 파업에 동참했다며 파업에 참가한 초등학교 교사는 전체의 40% 정도였다고 밝혔다. 또, 중등학교 교사의 파업 참여율은 24%였다고 설명했다. 반면, 최대 교원 노조인 교사연합노조(Snuipp)는 파업 참여율이 75%이며 전국의 초등학교 두 곳 중 한 곳은 이날 휴교했다고 밝혔다.
노조는 바이러스 노출·감염으로 등교하지 못하는 학생이 늘면서 교사들이 현장 수업과 원격 수업의 균형을 맞추기 곤란하다며 “파업은 학교에서 절망감이 날로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거리 시위에 참가한 영어 교사 릴리아 라르비는 <에이피>(AP) 통신에 “어제 단 3명의 학생들과 수업을 진행했다”며 다른 학생들은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거나 검사 결과를 기다리느라 학교에 오지 못했다고 말했다.
교사들은 정부의 코로나19 관련 지침이 계속 바뀌면서 학교 현장이 혼란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프랑스 정부는 최근 일주일 사이에 학생들의 코로나19 검사 규정을 두번이나 바꿨다. 특히 장미셸 블랑케르 교육부 장관이 지침 변경 사실을 교사들에게 미리 알리지 않고 언론 인터뷰를 통해 공개한 것에 많은 교사들이 분개했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프랑스 정부는 지난해 연말부터 코로나19 확진자가 연일 최고치를 기록하자, 지난 2일 새로운 학교 방역 규정을 발표했다. 새 규정은 학급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면 같은 반 학생들은 나흘 동안 정식 코로나19 검사와 자가 진단기 검사를 모두 3번 실시해 음성이 나오면 등교하도록 하는 내용이다. 하지만 이후 곳곳에서 코로나 검사 지연 사태가 발생하자, 10일에는 학생들에 대해 정식 검사를 자가 진단기 검사로 대신할 수 있게 했다.
교사들은 코로나19 확진 학생이 나오면 수업을 일주일 중단하도록 한 기존 규정으로 돌아갈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교원 확충, 고품질 마스크 제공, 바이러스 검사 확대, 환기가 필요하면 알림을 울리는 장치 설치 등을 요구했다.
장 카스텍스 총리는 이날 오후 블랑케르 장관과 함께 노조 지도자들을 만났다. 이 만남 뒤 블랑케르 장관은 수천명의 대체 교원을 학교에 투입하고 500만개의 고품질 마스크를 유치원 교사들에게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