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홍콩의 가상화폐 거래소를 해킹해 12만여개의 비트코인을 훔친 일리야 리첸스타인과 부인 히더 모건. 인스타그램
현재 시세로 45억달러 상당의 가상화폐를 해킹한 부부가 체포됐다.
미국 법무부는 8일 지난 2016년 홍콩의 가상화폐거래소인 비트파이넥스를 해킹해 11만9754개의 비트코인을 절취한 일리야 리첸스타인(34)과 부인 히더 모건(31)을 체포했다고 발표했다. 법무부는 이들로부터 36억달러 상당의 가상화폐를 압수했다. 이는 미 법무부 역사상 최대 액수의 압수이다. 이들에게는 현재 9만4천개 이상의 비트코인이 남아있었다. 리첸스타인 부부가 해킹을 통해 훔친 비트코인들은 당시 시세로 7100만달러였지만, 현재는 가치가 올라 45억달러에 상당한다.
리사 모나코 법무부 부장관은 이날 성명에서 “오늘, 이들이 체포되고, 법무부 역사상 최대의 압수를 했다는 사실은 가상화폐가 더 이상 범죄자들의 도피처가 아님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법무부는 범죄자들의 디지털 화폐 사용을 근절하기 위해 가상화폐에 대한 수사를 확대해 왔다.
미 법무부에 따르면, 이들 부부는 2천회 가량의 무허가 거래를 통해서 비트파이넥스로부터 비트코인을 훔쳐 리첸스타인의 디지털지갑으로 전송했다. 훔친 화폐의 일부는 “복잡한 돈세탁 과정”을 거쳐서 이 부부의 계좌로 전송됐다. 이들이 사용한 돈세탁 기법에는 다른 여러 가상화폐로 순식간에 환전하는 이른바 “연쇄 건너뛰기” 등이 사용됐다.
부인 모건은 ‘래즐칸’으로 알려진 래퍼이기도 하다. 그의 웹사이트 래즐칸닷컴은 래즐컨을 “소프트웨어 최고경영자, 작가, 경제분석가 및 모순되는 여러 가지”라고 설명하고 있다. 모건은 자신의 디지털 자산을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내 남자친구(지금은 남편)가 나에게 몇년 동안(2014, 2015년) 가상화폐를 선물했다”며 “나는 이를 냉장보관하고 있다”고 말했다.
가상화폐는 컴퓨터에 바이러스를 심은 뒤 금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 해킹범죄그룹들이 지불 수단으로 이용하는 등 범죄자들의 돈세탁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가상화폐의 모든 거래 기록은 그 기반이 되는 기술인 블록체인에 남아서, 결국은 추적될 수 있다.
이번 사건은 이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법무부의 한 고위 검사는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에 “이번 체포로 우리가 블록체인을 거치는 돈을 추적할 수 있고, 가상화폐가 돈세탁이나 우리 금융시스템 내에서 무법지대가 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