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의상을 입은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독립기념일을 하루 앞둔 지난 16일(현지시각) 수도 자카르타 국회의사당에서 국정연설을 하고 있다. 자카르타/AP 연합뉴스
전기차 배터리 원료인 니켈 세계 1위 수출국 인도네시아가 수출하는 니켈에 대한 관세 부과를 고려하고 있음을 재확인했다.
18일(현지시각)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중으로 니켈 수출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는 올해 초부터 니켈 관세 부과 가능성을 꾸준히 언급해왔다. 인도네시아의 니켈 매장량은 약 2100만t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으며, 지난해 전 세계 니켈 생산량의 37%를 인도네시아가 차지했다.
인도네시아의 목표는 자국 내에서 니켈을 활용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나아가 전기차 배터리 관련 산업을 키우는 것이다. 인도네시아는 니켈 정제로 350억달러(46조5045억원) 부가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위도도 대통령은 “수입과 일자리 기회를 늘리기 위해 국내에서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가 계획대로 올해 중에 관세 부과에 나선다면 전기차 배터리 산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니켈뿐 아니라 리튬, 코발트 등 전기차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원재료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해 왔다. 특히 원재료 가운데서도 니켈은 배터리의 충전 밀도를 높이는 데 쓰인다.
<블룸버그>는 “단기적으로는 세금으로 인해 해외 판매가 제한될 수 있다”면서도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니켈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2017년 톤당 1만달러(1328만원) 수준이었던 니켈 가격은 배터리용 수요가 증가하면서 높아지기 시작했고 지난 2월 말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당시에는 공급 차질 우려로 톤당 한때 10만달러(1억3280만원)를 돌파하기도 했다.
한편 위도도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탄소 중립을 위해 내년 말까지 탄소세를 부과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 계획은 지난해 발표됐으나 식료품과 원료 가격 등이 오르며 미뤄졌다.
조해영 기자
hy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