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중국 베이징의 한 동네가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해 봉쇄돼 있다. 베이징/AP 연합뉴스
시진핑 3기 최고지도부인 중국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회가 10일 첫 회의를 열어 코로나19 방역에 대해 논의했다. 중국 당국은 엄격한 방역을 기조로 한 ‘제로 코로나’ 정책을 이어가되 일률적인 방역 관행은 지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11일 중국 관영 <신화> 통신 등 보도를 보면, 지난달 말 꾸려진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이하 상무위)는 전날 시진핑 국가주석 주재로 첫 회의를 열어 코로나19 상황에 대한 보고를 받고 방역 정책 최적화를 위한 20가지 조치 등을 발표했다. 최근 확진자 증가로 봉쇄가 강화되면서 당국의 코로나19 정책에 대한 중국 사회의 관심이 높아진 상황이다.
이날 상무위는 “제로 코로나의 전반적 방침을 확고히 관철한다”면서 “코로나19 예방 통제와 경제·사회 발전을 효율적으로 총괄하겠다”고 말했다. 기존 정책 기조를 유지하되, 과거와 같은 일률적인 방역이 아닌 상황에 맞춘 적절한 방역을 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상무위는 이를 통해 “인민 생명과 건강을 최대한 보호하며 전염병이 경제 사회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무위는 고강도 방역에 따른 사회·경제적 타격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밝혔다. 구체적으로 바이러스의 급속한 확산 특성에 적응하고 방역 전선의 확장과 시간 연장을 피하고, 과학적이고 정밀한 예방·통제를 통해 방역 효율성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백신 및 의약품의 연구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효과와 적합성을 향상시키며 무책임한 태도와 형식주의, 관료주의를 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역별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채 도시 전체를 봉쇄하는 식의 ‘묻지마 봉쇄’를 지양하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최근 하루 확진자 수가 8천명을 넘는 등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하다. 미국·한국 등에서 확진자가 하루 수만 명씩 발생하는 것에 비하면 매우 적은 수준이지만, 중국은 2020년 코로나19 발생 이후 극단적인 봉쇄 정책을 펴, 3년 가까이 하루 수십명 대의 확진자를 유지해 왔다. 중국 민간에선 제로 코로나 정책에 대한 비판이 자주 제기되고 있지만, 중국 당국은 ‘생명 보호가 우선’이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베이징/최현준 특파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