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중국 베이징의 한 슈퍼마켓에서 한 여성이 스마트폰을 보고 있다. 베이징/EPA 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무증상 코로나19 감염자 집계를 중단한 가운데, 관영 언론이 비공식 조사에서 베이징 거주자의 절반이 코로나19에 감염됐거나 감염된 이력이 있다고 답했다고 보도했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15일 “중국이 지난주 코로나19 대응을 최적화하는 10가지 새 조치를 발표한 뒤 코로나19 사례가 급증하기 시작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첫 파동이 한 달 안에 절정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했다”며 “베이징이 파동의 공격을 처음으로 어깨에 짊어졌다”고 밝혔다. 이어 “많은 사람이 (핵산) 검사를 중단했기 때문에 베이징의 감염자 수는 파악하기 어렵다”며 “그러나 웨이신(위챗)이 8023명을 상대로 시행한 조사 결과 14일 오전 기준 51%의 응답자가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왔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중국 소셜미디어에서 진행한 비공식 설문조사 결과를 곧이곧대로 신뢰하긴 어렵지만, 베이징의 코로나19 확산 정도를 추정하는 데 참고해 볼 순 있다.
중국 정부는 앞선 14일 원하는 사람만 핵산 검사를 받는 상황에서 정확한 집계가 어렵다며 이날부터 무증상 감염자 통계를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가 공개하는 감염자 수치는 핵산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고 치료 시설이나 격리 시설에 입소한 사람들만 집계될 뿐 전체 감염자를 보여줄 수 없게 됐다. 이는 한국·미국·유럽 등이 이전에 취한 조처와 비슷하지만, 중국이 그동안 엄격한 ‘제로 코로나’ 정책 기조 아래 반의무적으로 핵산 검사를 해 왔다는 점에서 통계 흐름이 완전히 바뀌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베이징시는 확진자 급증에 대응해 지난 13일 발열 진료소를 94곳에서 303개로 확대했지만 수요를 쫓지 못하고 있다. 이에 베이징시는 증상이 가벼운 환자들은 집에서 회복할 것을 촉구했다. 약 가격을 터무니없이 올리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베이징의 한 약국은 최근 코로나 치료제로 꼽히는 ‘롄화칭원’을 평소보다 5배가량 비싸게 판매하다 적발됐다.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는 가운데서도 일상 회복을 위한 추가 조치도 이어졌다. 베이징시가 정부 지침에 따라 베이징을 오가는 단체 여행을 조직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안내문을 배포했다고 <글로벌 타임스>가 전했다.
베이징/최현준 특파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