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7월로 예정된 한국 해양조사원의 독도부근 해류관측조사에 시비를 걸고 나섰다.
대표적 우익지인 산케이(産經)신문은 29일 일본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 "조사예정해역에는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이 포함돼 있다"고 주장했다.
해양조사원은 지난 1월27일 항행통보에 2천500t급 수로측량 관측선을 이용, 독도 부근 수역에 대한 해류관측을 7월 3∼17일 실시하겠다는 계획을 공시했다.
조사 대상해역은 독도로부터 12해리 안에 있는 우리측 영해다.
그런데도 산케이가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하는 형식으로 "한국과 일본의 주장이 겹치는 해역이 포함돼 있다"고 보도한 것은 어떻게든 독도를 분쟁지역화하겠다는 일본 정부의 속내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외무성 간부는 "어디까지나 해류조사로 해저지형명칭과는 관계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산케이는 국토교통성 간부의 말을 인용, "해류조사라고 하지만 해저지형 명칭문제와 얽혀있다"고 주장했다.
항행통보는 선박이 항해할 때 유의해야 할 위험요소가 있는지 등을 알려주는 안 내책자 성격으로, 국제수로기구(IHO) 회원국들은 이를 공유하고 있다.
국립 해양조사원은 2000년부터 울산을 기점으로 독도까지 수온, 염분, 유향, 유속 등의 해류 변화를 관측하기 위해 해류관측을 실시해왔다. 일본 정부와 산케이가 지난 1월에 공고된 항행통보를 근거로 뒤늦게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것은 기회있을 때마다 독도가 분쟁지역이라는 것을 국제사회에 각인시키려는 계산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일본 언론은 해저지형명칭을 둘러싼 대립과정에서 독도분쟁지역화에 상당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해영 특파원 lhy@yna.co.kr (도쿄=연합뉴스)
국립 해양조사원은 2000년부터 울산을 기점으로 독도까지 수온, 염분, 유향, 유속 등의 해류 변화를 관측하기 위해 해류관측을 실시해왔다. 일본 정부와 산케이가 지난 1월에 공고된 항행통보를 근거로 뒤늦게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것은 기회있을 때마다 독도가 분쟁지역이라는 것을 국제사회에 각인시키려는 계산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일본 언론은 해저지형명칭을 둘러싼 대립과정에서 독도분쟁지역화에 상당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해영 특파원 lhy@yna.co.kr (도쿄=연합뉴스)
이슈독도 영토주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