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왼쪽)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이 도쿄 외무성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도쿄/AP
일본을 시작으로 한·중·일 방문에 나선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16일 “지난 20년간 미국의 대북정책이 실패했다”며 “북한에 대한 미국의 새로운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더욱 주목된다.
틸러슨 장관은 이날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과 회담한 뒤 연 기자회견에서 “지난 20년간 미국은 북한의 비핵화를 바라며 노력해왔지만 실패한 접근법이었다”며 “미국은 북한이 다른 길을 가도록 도우려 했지만 북한은 핵 능력을 강화하고 미사일 발사를 강행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북한 위협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북한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며 “이에 대해 일본과 의견을 나눴고, 한국, 중국과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틸러슨 장관은 또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 대응에 미·일, 한·미·일의 협력 강화가 대단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회담에서 틸러슨 장관과 기시다 외무상은 북한이 도발적인 행동을 자제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를 준수해야 한다는 점에서 뜻을 같이했다. 또 한·미·일이 보조를 맞춰 북한에 도발 행동을 자제할 것을 압박하고, 중국에도 영향력 행사를 요구해야 한다는 점에도 의견 일치를 봤다.
틸러슨 장관은 12·28 위안부 합의에 대해 한국 내부에서 재협상 또는 파기 주장이 일고 있는 것과 관련한 일본 기자의 질문에 “미국은 한·일 합의를 지지한다”며 “양국이 노력해 조속히 해결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미국은 한·미·일 사이의 강력한 동맹관계를 유지해 북한 문제에 대응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틸러슨 장관은 또 동중국해 문제에 대해 “(중국이) 일방적인 행동으로 일본의 영토 주권을 위협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틸러슨 장관은 이날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만난 자리에서는 “미·일 동맹이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초석”이라고 말했다.
틸러슨 장관은 17일 오전 한국 방문 길에 오른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