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코로나19 태스크포스 구성원들과 언론 브리핑을 하고 있다. 워싱턴/UPI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17일(현지시각)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미국인들에게 현금 1천 달러(약 124만원) 이상을 지급하는 방안을 포함해 1조 달러(약 1240조원)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뉴욕증시는 강력한 경기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반등했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은 이날 오후 의회에서 공화당 상원의원들에게 부양책을 설명한 뒤 기자들에게 “그건 큰 숫자다. 우리는 경제에 1조 달러를 투입할 제안을 테이블에 올려놨다”고 말했다.
부양책 전체 규모는 8500억 달러였으나 예산 관계자들의 검토를 거친 뒤 1조 달러로 늘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전했다. 여기에는 현금 지급을 위한 2500억 달러와 소상공인 대출에 3000억 달러, 항공산업 지원 500억 달러 등이 포함된다.
이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끄는 현금 지급과 관련해 므누신 장관은 이날 오전 백악관 코로나19 태스크포스의 언론 브리핑에서 “미국인들은 지금 현금을 필요로 하고 대통령도 현금을 주고 싶어한다. 지금, 2주 안에 말이다”라고 말했다. 지급 액수에 대해 므누신 장관은 “언론에 보도된 것보다 조금 더 클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앞서 미 매체들은 ‘성인 1명당 1천 달러 지급’ 가능성을 보도했다. 므누신 장관은 현금 지급에서 부유층은 제외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 백악관 브리핑에서 “크게 가겠다”는 말을 반복했다. 그는 자신이 주장해온 급여세 인하에 대해서는 “그것도 한 방법이지만 몇 달이 걸릴 수 있다”며 “우리는 훨씬 더 빠른 것을 원한다”고 말했다. 급여세 인하에 의회가 부정적인 현실을 고려해, 신속하게 집행할 수 있는 현금 지급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국민들에 1천 달러 직접 지급 방안은 일부 학자들 외에도 의회에서 밋 롬니 공화당 상원의원과 셰로드 브라운 민주당 상원의원 등이 주장해왔다.
공화당은 이번 경기부양책을 민주당과 협의해 의회 통과를 추진할 예정이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은 지난 15일 ‘제로 금리’와 7000억 달러 양적완화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이날 기업어음(CP) 매입기구를 설치하겠다고 밝히며 유동성 추가 확대에 나섰다.
정부와 연준이 잇따라 경기부양 대책을 쏟아내자, 전날 1987년 ‘블랙 먼데이’ 이후 최대 낙폭을 보였던 뉴욕증시는 반등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5.20%(1048.86포인트) 오른 2만1237.38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6.00%(143.06포인트) 오른 2529.19에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6.23%(430.19포인트) 상승한 7334.78에 장을 마쳤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