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경복고등학교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개표요원들이 비례정당 투표용지를 수개표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 총선이 여당의 압승으로 끝나자, 외신도 한국과 자국의 관계 및 자국 정치 상황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분석을 내놨다. 한국과 외교 갈등을 겪고 있는 일본에선 ‘대일 강경 노선 유지’를 우려하는 전망이, 11월 대선을 앞둔 미국에선 선거 진행 자체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 평가가 나왔다.
<아사히신문>은 16일 “역사 문제로 일본에 강경한 자세를 취하는 진보파 여당(의석)이 국회에서 늘어나 여당의 발언력이 높아질 것”이라며 “문재인 정부가 ‘1965년 일·한 청구권협정으로 (강제동원 배상 문제) 해결이 끝났다’는 일본과의 협상에 더 강경한 자세로 임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문재인 정부가) 일-한 관계에서는 대화를 통해 극단적 대립을 피한다는 노선을 유지할 전망이지만, ‘징용공’(강제동원 피해자) 문제 등 현안 해결 전망은 보이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미국 <워싱턴 포스트>는 이날 ‘포스트의 시각’이라는 사설을 통해 “공정한 선거 없이 세계 민주주의는 약화할 것이다. 한국은 그것(공정한 선거)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미국 등 서구 국가들이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하지 못하면 민주주의의 세계적 명분은 크게 약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은 코로나19 확산으로 15개 이상 주에서 대선 경선을 연기한 상태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이날 논평을 내어 “성공적인 총선 실시”를 축하했다. 그는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민주적 가치에 대한 한국의 헌신은, 진정으로 자유롭고 개방적이고 투명한 사회의 특징”이라며 “이는 현재의 위기에 맞서는 데 필요하고, 한국이 성공적으로 코로나19에 대응하는 데 중요하며, 세계 다른 국가들의 모델이 될 것”이라고 추어올렸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해외판인 <해외망>은 16일 “1987년 한국 민주화 이후 집권당이 전체 의석 중 5분의 3을 차지한 것은 처음”이라고 의미를 평가했다. 이어 “더불어민주당은 ‘코로나19 극복’을 선거 구호로 내세웠고, 미래통합당은 ‘정권 심판’을 외쳤다. 민심이 집권당 쪽으로 기울었다”고 전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