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무책임한 도발적 행동”
러시아도 “국제법 무시 과시”
러시아도 “국제법 무시 과시”
북한이 2일 국제해사기구(IMO) 등에 인공위성 발사 계획을 통보한 사실이 전해진 뒤 관련국들은 이를 비난하며 발사 자제를 촉구했다.
일본이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아베 신조 총리는 3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북한의 이번 인공위성 발사 계획을 “실제 탄도미사일의 발사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규정한 뒤 발 빠른 대응 조처를 이어나갔다. 일본은 이날 오전 베이징 대사관을 통해 북한에 이번 발사를 중지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 데 이어, 정오엔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어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일본은 이번에 발사되는 북한 장거리 로켓의 비행경로가 2012년 12월 북한이 발사에 성공한 ‘은하 3호’의 궤적과 흡사할 것으로 보고, 오키나와 해역에 적의 탄도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는 이지스함과, 미야코지마와 이시가키지마 등에 패트리엇(PAC)-3 배치를 준비하고 있다. 북한이 2일 밝힌 로켓의 발사 궤적에 따르면, 발사체는 오키나와 사키시마 제도의 상공을 지난다. 나카타니 겐 방위상도 “자위대의 이지스함, 패트리엇-3 부대 등에 필요한 태세를 취하도록 탄도미사일에 대한 파괴조치 명령을 발령했다”는 사실을 공식 확인하며 “이번 조처의 기한은 25일까지지만 필요할 경우 연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날엔 “손안에 든 패를 다 보여줄 순 없다”며 파괴조치 명령의 발동 여부에 대한 답변을 피했었다.
미국도 백악관·국무부 등이 나서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 통보를 일제히 비판했다. 존 커비 국무부 대변인은 2일(현지시각) 정례 브리핑에 앞서 논평을 내어 “(북한의 행동은) 탄도미사일 기술의 활용을 금지하고 있는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무책임한 도발적 행동”이라고 비난했다. 커비 대변인은 지난주 존 케리 국무장관의 중국 방문 내용을 소개하며 “중국도 북한에 대해 다른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했다”며 ‘중국 역할론’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러시아 외무부도 3일 발표한 성명에서 “북한의 로켓 발사 계획 발표는 깊은 우려를 불러일으킨다”며 “유엔 안보리의 요구를 또다시 위반하면서 북한은 국제법의 보편적 규정에 대한 도발적 무시를 과시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도쿄 워싱턴/길윤형 이용인 특파원 charisma@hani.co.kr
이슈사드 배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