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도쿄에서 남성 한 명이 올림픽 로고 조형물 뒤를 마스크를 쓰고 지나가고 있다. 도쿄/AFP 연합뉴스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이 올해 여름 열릴 예정인 도쿄올림픽·패럴림픽을 예정대로 개최하기 위해서 전력을 다해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감염 확산 때문에 도쿄올림픽이 취소나 연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자 진화에 나섰다.
바흐 위원장은 27일 연 긴급 전화 기자회견에서 “우리 올림픽위원회 입장은 7월 24일에 개막하는 도쿄올림픽 성공을 향해서 전력으로 준비하는 것이다. 도쿄올림픽 성공을 일본인들과 함께 축하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이 전했다
바흐 위원장은 도쿄올림픽 연기 또는 중지, 일본 외 다른 나라에서 개최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추측과 가정에 바탕을 둔 이야기에는 대답하지 않겠다”며 분명한 답은 하지 않았다. “일본 정부는 선수와 관계자의 안전을 위해서 대회 조직위원회와 긴밀하게 연계를 하면서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6일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 중 최장기 재직 위원인 딕 파운드(캐나다)가 <에이피>(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코로나19 때문에 도쿄올림픽을 치르기 위험하다면 국제올림픽위원회는 대회 연기나 개최지 변경보다 취소를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파운드 위원은 도쿄올림픽 개막 두 달 전인 5월 말까진 대회 강행 또는 취소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며 “그 무렵에 사람들은 도쿄올림픽 참가를 자신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상황이 통제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따져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파운드 위원 발언이 국제올림픽조직위 공식 의견은 아니지만, 취소 가능성을 열어둔 발언은 일본에서 파문을 일으켰다.
오랜 준비 기간과 막대한 예산을 들여서 개최하는 올림픽을 취소하거나 연기하는 일이 실제 발생할 확률은 상대적으로 낮다. 올림픽이 중지된 때는 지금까지는 전쟁 때뿐이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아베 신조 총리가 27일 저녁 갑자기 일본 전역 초·중·고등학교 휴교라는 강수를 둔 배경에도 도쿄올림픽이 있다는 분석이 많다. <요미우리신문>은 27일 “일련의 조처는 7월 도쿄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일본이 감염국이라는 이미지가 붙는 사태를 피하고 싶은 정부의 강한 의지가 배경”이라고 짚었다. 일본 정부는 25일 코로나19 대책 기본방침을 발표했을 때만 해도 전국 일률적인 행사 자체 요청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다음날인 26일 곧바로 앞으로 2주간 스포츠 경기 및 행사 자제 요청을 해 사실상 방침을 180도 바꿨다. 이어서 27일에는 다음 달 2일부터 봄 방학 때까지 사실상 한 달여 간 휴교령이라는 이례적 조처까지 발표했다. 갑자기 방침이 뒤집힌 데 대해서 설명이 필요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갑작스러운 초·중·고 휴교 통보에 부모와 일선 교사들은 당황하고 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