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도쿄올림픽 주경기장으로 쓰일 예정인 일본 도쿄 국립경기장을 배경으로 마스크를 쓴 이들이 사진을 찍고 있다. 도쿄/AP 연합뉴스
도쿄올림픽·패럴림픽의 사실상 1년 연기가 결정되면서 일본은 수조원에 이르는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비용 부담뿐 아니라 인력 배치, 자원봉사자 모집, 행사장 확보, 티켓 환불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더미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름을 밝히지 않은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 간부가 “올림픽이 취소되지 않은 것은 다행이지만 추가 비용은 수천억엔(수조원) 규모가 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고 25일 전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경기장 이용료가 추가 지출될 수 있다. 일본이 올림픽 경기장 이용료로 지불하는 돈은 약 530억엔이다. 경기장 운영 주체들은 취소할 경우 통상적으로 따로 비용을 받는다. 농구경기가 열릴 예정인 사이타마시 슈퍼아레나는 취소할 경우 이용료 중 50%를 받는데, 올림픽 연기와 관련해서는 아직 방침을 정하지 않았다. 도쿄올림픽조직위는 직원 급여와 수당으로 지난해 약 40억2600만엔을 썼는데, 대회가 1년여 연기되면 인건비도 추가로 지출될 수밖에 없다. 추가 비용까지 합치면 인건비가 조원대로 발생할 가능성이 큰데, 얼마나 더 들지도 정확히 예상하기도 어렵다.
추가 비용을 누가 부담하느냐를 두고도 줄다리기가 벌어질 전망이다. 지난해 예산계획서에 따르면 도쿄올림픽·패럴림픽 개최 예산은 1조3500억엔인데, 도쿄도와 도쿄올림픽조직위가 각각 6000억엔, 그리고 일본 중앙정부가 1500억엔을 분담하게 돼 있다. 일본 정부는 행사 주체는 도쿄도와 도쿄올림픽조직위이라며 추가 비용을 대거 분담하지는 않을 자세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도쿄올림픽조직위 관계자가 “국가도 일정 정도 분담하지 않겠느냐”고 말했지만, 정부 관계자는 “도쿄도와 도쿄올림픽조직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사이에서 해결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경제적 손실 전체는 7조엔 이상이라는 전망도 있다. 지난 23일 스포츠 경제학 전문가인 미야모토 가쓰히로 간사이대학 명예교수는 도쿄올림픽이 1년 연기되면 1년 동안 경기장과 선수촌 유지관리비 등이 추가로 투입돼 경제적 손실액이 6408억엔(약 7조3984억원)에 이른다는 추산치를 내놨다.
<도쿄신문>은 연기 결정으로 각 분야에서 불안이 분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은 도쿄올림픽을 위해 자원봉사자 8만여명을 모집했는데 상당수는 대학 4학년이다. 1년 뒤에는 직장 생활을 시작해, 자원봉사를 못 하는 경우가 속출할 수 있다.
티켓도 550만장을 판매했는데 연기 뒤에도 유효한지, 환불은 할 수 있는지가 미정이다. 도쿄올림픽조직위가 참가자를 위해 호텔 360여곳 4만6000여개 방을 예약했는데, 취소 수수료를 어떻게 할지도 문제다. 도쿄의 한 호텔 관계자는 <도쿄신문>에 “아직 도쿄올림픽조직위와 취소 수수료에 대해 상의하지는 않았으나, 전액 지불하기를 바란다. 한 푼도 주지 않는다면 호텔들이 집단으로 소송을 내도 이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가 부흥의 상징으로 홍보하기 위해 동일본대지진 피해 지역인 후쿠시마현에서 출발하기로 했던 성화 봉송도 우여곡절 끝에 취소됐다. 출발 예정지였던 후쿠시마현에 있는 축구 연습장 제이(J)빌리지에서는 25일 출발 행사를 하기 위해 설치했던 무대 장치를 철거했다. 하시모토 세이코 올림픽·패럴림픽 담당상은 국제올림픽위가 연기도 검토한다고 처음으로 발표한 지난 23일에도 성화 봉송은 예정대로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사람이 들고 뛰는 대신에 랜턴에 넣은 성화를 차량에 실어 전국을 도는 방안을 검토했다. 24일 연기로 사실상 결정되자 성화 봉송을 단념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